본문으로 이동

위키백과:사랑방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사랑방
2025년 제43주
2025년 10월
40 29 30 1 2 3 4 5
41 6 7 8 9 10 11 12
42 13 14 15 16 17 18 19
43 20 21 22 23 24 25 26
44 27 28 29 30 31 1 2

사랑방

위키백과 사랑방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사랑방은 위키백과 내에서 사용자들이 서로 의견을 주고받고 담소를 나누는 곳입니다.

새 주제로 글을 쓰시려면 새로운 주제를 클릭하시면 됩니다. 사랑방의 예전 토론은 과거 토론 목록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사랑방을 이용하기 전에 반드시 도움말을 읽어 주세요.
  • 위키백과에 대한 질문은 질문방에 해 주세요. 새로 가입한 사용자의 가입 인사는 방명록에 남겨주세요.
  • 각 문서에 대한 의견은 문서의 토론 공간을, 특정 분야에 대한 의견은 위키프로젝트의 토론 공간을 활용해 주세요.
  • 기술적인 문제에 대한 토론은 기술 사랑방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 기타 요청은 위키백과:요청을 참고해주세요.
위키백과 소식
  • 위키컨퍼런스 서울 2025가 10월 25일 열렸습니다.
의견 요청
위키백과와 관련 없는 내용의 작성은 가능한 자제해 주세요. 예고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질문이 있으신가요? 질문방에 질문을 남겨주세요!
사랑방을 이용하시기 전에 반드시 도움말을 읽어 주세요.

새로운 주제


토론없는 삭제ㆍ되돌리기ㆍ차단

[편집]

삭제(는 진짜 충격입니다 흔적없어져서) 되돌리기 차단과 같은 제재하기 전에 충분한 (은 아니더라도 최소한의) 토론이 있어야 하지 않나요?예전에 전관예우 문서에서 지인 특혜라는 내용으로 서술하다 되돌려지기도 했고 심지어 본인이 고소한다고 고지한ㅇ사건 민사소송했길래 박선원 문서에 넣어도 되돌림

윤석열 문서는 체포영장으로 체포하는걸폭력적으로 방해한 사건과 이재명 친형 강제입원 지시(는 했지만 "할수없어 안했다"는 것이 국회의원 끌어내라는ㅇ지시를 들었다는 계엄군의 법정 증언과 ) 직권남용 사건이 무죄받은 사례 거론하며 윤석열도 무죄가능성 서술했다가 없어지고 더불어민주당은 법원에 대한

조직적인 압박 충분히 논란이라고 할 수 있지 않을까요?

위키백과를 보면 꼭 운영자의 허가를 필요로 하는 곳 같습니다

처음 방문하게 된 계기가 비상계엄에 대한 미디어의 비이성적인 보도 행태 때문인데 여기서도 만만치

않네요 위헌적인 비상계엄?

계엄에 대해 위헌을 누가 판단하죠?

대통령에게 국가비상사태에 대한 판단할 권한이 있고 국회도 해제를 요구할 뿐인데 사법부가 심사를

할 수 있을까요?

전쟁상황에서 국회가 반대하면 계엄없이 싸워야

하는데 만약에 해제요구에 해제 안하면 어떻게 될까요? 해제 안한 것이 내란이라고 할 수 있을까요?

솔직히 비상계엄 이후 정치가 법치를 유린하는 것 같거든요 문재인정부에서 만든 국가수사본부와 공수처가 주도한 것을 봐도?


여호와킴 (토론) 2025년 10월 6일 (월) 16:41 (KST)[답변]

@여호와킴: 어떤 문서를 말씀하시는지 알아야 얘기를 할 수 있지 않을까요? 그리고 위키백과의 운영자는 미국의 위키미디어 재단이며, 우리는 그들의 허가를 받고 문서를 생성하지 않습니다. ginaan기나ㅏㄴ(˵⚈ε⚈˵) 2025년 10월 6일 (월) 17:50 (KST)[답변]
본문에 다 적혀있어요 박선원 더불어민주당 전관예우 등 여호와킴 (토론) 2025년 10월 7일 (화) 13:05 (KST)[답변]
위키백과는 독자연구 하라고 있는 곳이 아닙니다. --Whitetiger (토론) 2025년 10월 6일 (월) 17:52 (KST)[답변]
독자연구라고 일방적으로 단정짓는건 독자연구 아닌가요? 비상계엄을 위헌이라고 하는 것은 헌법에 맞지 않잖아요? 그동안 사법부 논리에 의하면 계엄해제 안해도 불법은 아닙니다 처벌규정 없으면 강제성 없는 권고 일뿐?그렇게 얼마든지 반박 가능하고 동의하지 않는 사람도 적지않은데 그저 정치다툼에서 승리한 부분을 그대로 싣는 곳이 위키백과인가요? 그런거라면 위키만의 특색은 사라지지 않을까요?심지어 박선원 민사소송했다는것은? 전관예우는 기본적으로 아는 사람을 통해 특혜받는 중국 꽌시 같은 것으로 지인예우 아닌가요? 전직 판사 검사든 권력자 아들 친인척 측근 모두 권력자 지인이잖아요? 지인 우대 아래 범주에 변호사가 있을 뿐인데 단지 다른사람과 다르게 변호사는 판검사에 의해 보호받아서 처벌이 이루어지지 않을 뿐이죠
"되돌리기 삭제 차단이 공정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 "는
증거로 제시했고 그걸 예방하기 위해서 토론이 필수
적이라는 것입니다
특정한 매체에서 쓴 기사라는 것도 웃기지 않나요?
어차피 그 매체도 독자연구아닌가요?
모든 매체에서 비상계엄을 내란이라고 하면 내란이 되나요? 그렇다면 차라리 좋아요 엄지척 숫자가 높은 내용으로 백과사전이 서술된다는 것인데 이건 백과사전이 ㄷ아니라 커뮤니티 아닐까요?
더불어민주당 문서에서 논란이 거의 없다시피 하던데 대법원을 사법쿠데타라고 하는 중대한 사건이 빠지면
되나요?
법위반없는 대법원 파기환송이 사법쿠데타라면 헌법재판소 탄핵도
사법쿠데타입니다
형사소송법 준용하는 탄핵심판에서 진행중인 사건 무죄추정 원칙 반하여 송부금지된 기록받고 피청구인이 동의
하지않은 내용 증거채택해서 파면
"헌법과 법률을 위반하여 대통령쫓아냈다" 여호와킴 (토론) 2025년 10월 7일 (화) 04:06 (KST)[답변]
@여호와킴: 제 질문에 답변해주시겠어요? ginaan기나ㅏㄴ(˵⚈ε⚈˵) 2025년 10월 7일 (화) 11:23 (KST)[답변]
질문이 어디 여호와킴 (토론) 2025년 10월 7일 (화) 12:43 (KST)[답변]
위에요. ginaan기나ㅏㄴ(˵⚈ε⚈˵) 2025년 10월 7일 (화) 16:29 (KST)[답변]
일단 구체적인 문서를 알려달라고 말씀드렸습니다. ginaan기나ㅏㄴ(˵⚈ε⚈˵) 2025년 10월 7일 (화) 16:30 (KST)[답변]
딱히 답변할 가치를 느끼지 못해서 따로 대답은 하지 않겠습니다. 위키가 방구석 재판관을 위한 곳이 아니라는 사실만 알아주셨으면 합니다. --Whitetiger (토론) 2025년 10월 7일 (화) 15:07 (KST)[답변]

의견을 제시하세요: 2025년 이사회에 투표하세요

[편집]

모두들 안녕하세요,

2025년 이사회 선거 투표 기간이 시작되었습니다. 후보자들은 이사회 2석에 출마했습니다.

유권자 자격을 확인하려면 유권자 자격 페이지를 방문하세요.

지원서 내용을 읽고 지원자 소개 영상을 시청하여 그들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세요.

준비가 되면 SecurePoll 투표 페이지로 가서 투표하세요.

투표는 10월 8일 00:00 UTC부터 10월 22일 23:59 UTC까지 진행됩니다.

감사합니다,

아비셰크 수리야완시
선거 위원회 의장

MediaWiki message delivery (토론) 2025년 10월 9일 (목) 13:48 (KST)[답변]

국제관계

[편집]

프랑스-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관계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프랑스 관계의 차이는 무엇입니까? ~2025-28338-23 (토론) 2025년 10월 10일 (금) 13:26 (KST)[답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프랑스 관계로 넘겨주었습니다. -- Jjw (토론) 2025년 10월 10일 (금) 19:27 (KST)[답변]

정보상자의 스타일 적용

[편집]

옆 동네 위키의 둘러보기 상자의 스타일을 보니까 그라데이션 스타일을 적용한 게 한국어 위키백과에도 적용을 안 할 이유는 없다고 봐서 틀:언프리티 랩스타, 틀:케이팝 데몬 헌터스 처럼 적용해봤는데 어떤가요? (위키백과:질문방/2025년 제41주#틀:navbox의 제목모양도 같이 봐주세요) --Leedors (토론) 2025년 10월 12일 (일) 21:39 (KST)[답변]

좋은 개선방향이라고 생각합니다. 밥풀떼기 (토론) 2025년 10월 13일 (월) 14:00 (KST)[답변]
참신하고 긍정적인 시도라고 생각합니다. — Nt 2025년 10월 14일 (화) 01:41 (KST)[답변]
디자인이 마음에 듭니다. 좋습니다! -- Persephone Kore (토론) 2025년 10월 15일 (수) 15:46 (KST)[답변]
저는 개인적으로 색상에 대한 접근성을 저해하는 것으로 보여 반대합니다. 틀:케이팝 데몬 헌터스에서 편집 창을 여는 "E" 글자와 "접기/펼치기"는 이미 잘 보이지도 않습니다. 거기에다가 그라데이션까지 있으니 더더욱 안 보입니다.--Namoroka (토론) 2025년 10월 16일 (목) 06:40 (KST)[답변]
틀 일부가 수정되어서 이전보다는 글자가 잘 보이지만, 틀:언프리티 랩스타의 경우처럼 시작점과 끝점의 색상 대비가 크게 차이나는 경우 한쪽은 흰색 글자를 적용해야 하지만 다른쪽은 아닌 경우가 나올 수도 있습니다. 두 색상이 어느 정도로 차이나는 경우까지를 허용하는지 명확한 규정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linear-gradient를 허용하면 radial-gradientconic-gradient도 허용을 해야할까요?--Namoroka (토론) 2025년 10월 20일 (월) 09:44 (KST)[답변]

역사 소모임 개최

[편집]

2025년 10월 18일 한국위키미디어협회 본부에서 역사를 좋아하시는 분들을 위한 소모임을 개최합니다. 이번 소모임의 주제는 남북국시대의 주요 국가 중 하나였던 발해입니다. 사용자 분들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일시: 2025년 10월 18일 (토요일) 오후 2시~6시 Persephone Kore (토론) 2025년 10월 13일 (월) 11:40 (KST)[답변]

2025 추석 챌린지-번역투 교정의 결과를 발표합니다.

[편집]

안녕하세요, 지난 추석연휴동안 진행되었던 2025 추석 챌린지-번역투 교정의 심사가 완료되어 결과를 발표합니다.

원활한 경품 지급을 위해 이번주까지 이메일 보내기를 활성화 하여 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올해 긴 추석연휴에도 위키미디어와 함께해 주셔서 감사합니다.--Youngjin (WMKR) (토론) 2025년 10월 15일 (수) 11:22 (KST)[답변]

유용한 도구 소개

[편집]

이 도구는 토론 문서에서 여러 가지 기능을 제공하는 스크립트입니다. 예전에 썼을 때는 각종 버그로 쓸 수 없을 지경이었는데, 오랜만에 사용해보니 문제가 모두 해결되어 강력한 도구가 되었습니다. 하루 정도만 적응하면 훨씬 편리하게 토론을 편집할 수 있으니 설치를 강력히 추천드립니다. 설치는 m:special:MyPage/global.js에 다음을 추가하시면 됩니다.

mw.loader.load('https://commons.wikimedia.org/w/index.php?title=User:Jack_who_built_the_house/convenientDiscussions.js&action=raw&ctype=text/javascript');

--ginaan기나ㅏㄴ(˵⚈ε⚈˵) 2025년 10월 16일 (목) 21:40 (KST)[답변]

새로운 추상 위키백과 프로젝트의 이름을 결정하는 데 도움을 주세요.

[편집]

안녕하세요. 새로운 추상 위키백과 위키 프로젝트의 이름을 정해 주세요. 이 프로젝트는 사용자가 위키함수의 함수와 위키데이터의 데이터를 결합하여 지원되는 모든 언어로 자연어 문장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위키입니다. 이렇게 생성된 문장은 모든 위키백과(또는 다른 곳)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투표는 두 차례 진행되며, 각 라운드마다 후보자에 대한 법적 검토가 진행됩니다. 투표는 2025년 10월 20일과 11월 17일에 시작됩니다. 최종 프로젝트 이름은 2025년 12월 중순에 선정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참여를 원하시면 메타위키에서 자세한 내용을 확인하고 지금 바로 투표하세요. 감사합니다!


-- User:Sannita (WMF) (talk) 2025년 10월 20일 (월) 20:43 (KST)[답변]

시작된 지 1년 가까이 되어가는 토론에 대한 참여 요청

[편집]

안녕하세요, 토론 참여 독려를 하기 위해 글을 올립니다. 현재 위키백과:알찬 글 후보, 위키백과:좋은 글 후보, 위키백과:알찬 목록 후보에는 문서의 양과 질을 고려했을 때 선정 가능성이 높고 뛰어난 글들이 후보로 올라와 있지만, 대부분의 토론이 올해 초에 시작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토론 참여자 수가 1~2명이거나 찬성 혹은 반대 표가 1개 정도에 그치는 상황이라 문서의 선정/기각 여부를 판단하는 입장에서도 총의가 모였다고 판단하기 어려운 실정입니다. 토론 참여자 저조를 이유로 기각할 수도 있겠지만, 개인적으로는 이대로 두기에 안타까운 토론들이 많아 선정/기각을 하지 않고 기다려 보았습니다. 올해도 벌써 10월 하순에 접어들고 있는데, 저는 이 토론들이 올해 안에는 결론을 낼 수 있기를 바라고 있습니다. 혹시 의견 남기는 것에 대한 부담이 있으시다면, 저도 후보를 올려봤던 입장에서 작고 사소한 의견이라도 힘이 된다는 걸 매번 느꼈기에 어떤 분이시던 적극적으로 의견을 개진해주신다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 Nt 2025년 10월 21일 (화) 18:42 (KST)[답변]

Growth News #35

[편집]

2025년 10월 22일 (수) 19:23 (KST)

WikiVault 등 기계번역 생성 문서의 미검수 문제

[편집]

10월 초 추석 챌린지를 통해 WikiVault 생성 문서 가운데 미검수 문서에 대한 정리작업이 이루어졌고, 많은 분들의 참여로 약 100여개의 문서가 개선되었습니다. 그러나 일주일이 지난 지금, WikiVault나 기타 기계번역 생성 문서의 미검수 문제가 아무런 조치나 제한 없이 지속되었고, 결국 미검수 문서의 규모가 챌린지 이전 수준으로 되돌아오면서 무용지물이 된 상황입니다.

미검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시스템적인 면에서 보다 확실한 조치가 필요하다고 느끼는 만큼, 다음의 두 가지 조치를 제안해 봅니다.

  1. 3만 바이트 이상의 단일 기계번역 생성 금지
  2. 기계번역 생성 후, 일주일 동안 생성자 본인에 의해 검수나 개선이 단 한번도 이루어지지 않은 문서는 초안 문서로 이동하거나 빠른 삭제 조치.

이 두 가지의 목적은 기계번역의 빠른 생성 속도를 늦추고, 문서 생성자들에게 책임감을 갖도록 하며, 편집자들의 검수 활동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습니다 (단언컨대 기계번역을 금지하려는 것이 아닙니다). 첫번째의 경우, 문서 생성자가 제대로 읽어보지도 않고 생성 버튼을 눌렀는데 일반 검수자가 제대로 검수하기 어려운 분량이어서 방치되어 버리는 상황을 방지하려는 목적입니다. 두번째는 생성자 본인이 내용을 검수하는 최소한의 책임감을 부여하여, 검수자의 수고를 덜고 자정노력을 유도하려는 목적입니다.

이러한 조치와 더불어 위키백과토론:2025 추석 챌린지를 통해서도 지적된 바 있듯이 '어떻게 검수해야 할 것인가'에 관한 세부적인 가이드라인 (지침, 안내문, 수필)의 마련이 필수적이라고 생각합니다. 가이드라인의 수립을 통해 정책적 활동, 에디터톤과 챌린지 활동의 기준으로 적용할 수 있고 지금의 문제에서도 제대로 대응할 수 있으리라고 생각합니다. 밥풀떼기 (토론) 2025년 10월 23일 (목) 11:24 (KST)[답변]

1, 2번의 조치에 대체로 동의하는데, 2번의 경우 검수나 개선이 이루어졌는지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을 생각하고 계신지 궁금합니다. 애초에 WikiVault로 처음에 문서를 생성했을 때 번역의 품질이 준수해서 수정을 가하지 않을 수도 있고, 처음 문서 생성 당시에 검수를 하고 글을 생성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WikiVault를 사용해 문서를 생성한 사용자가 토씨 몇 개 고치고 문서 생성 후 검수나 개선을 했다고 주장할 수 있을 것 같구요. — Nt 2025년 10월 23일 (목) 12:32 (KST)[답변]
2번의 기준은 '단 한번이라도 검수나 수정 관련 편집을 했는가' 입니다. 보수적인 선에서 잡은 최소한의 조치이고, 실질적으로도 검수가 이루어졌는지 눈으로 읽지 않는 이상 쉽고 빠른 분류가 어렵기 때문에, 편집 유무만 판별하는 선에서 이동 조치를 하는 것이 좋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문서 생성자의 주장보다는 검수를 전문적으로 하는 분이 확인하셔야 검수 유무를 인정할 수 있다고 봅니다. 밥풀떼기 (토론) 2025년 10월 23일 (목) 14:20 (KST)[답변]
음, 크게 두 가지 절차인 것 같네요. 문서 생성 후 최소한의 편집이 있다면 초안 이동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지만, 2차적으로 검수를 전문적으로 하는 사람의 판단이 중요하겠네요. 근데 전문적으로 검수를 누가 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아직 물음표가 남는 것 같습니다. — Nt 2025년 10월 23일 (목) 15:55 (KST)[답변]
그렇죠. 그 부분은 검수자 라는 새로운 단위의 사용자를 만들든, 검수 프로젝트라는 활동의 형태로 나아가든, 백:동료 평가처럼 검수가 이루어지는 공간의 형태로 만들든 여러가지 방안이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이것은 검수 활동에 대한 공동체의 적극적인 참여가 존재해야 원활하기 때문에 지금 상황에선 무리인 측면이 존재합니다. 지금 이 시간에도 기계번역 생성 문서의 미검수 방치 문제는 계속해서 심화되고 있는 실정이기 때문에, 이것들을 관리 대상으로 분류하기 위한 최소한의 조치를 도입할 필요가 있습니다. WikiVault만 보더라도 생성된 문서의 절대다수가 어떠한 편집 없이 방치된 문서인 경우이기에 더더욱 그렇습니다. 밥풀떼기 (토론) 2025년 10월 24일 (금) 08:05 (KST)[답변]
검수 활동 자체에 대해서는 Nt님께서 고민하시는 알찬 글, 좋은 글 활성화와도 연계해볼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 토론에서 번역된 문서가 후보로 올라올 때 주로 이루어지는 것이 번역 검수이기 때문입니다. WikiVault를 사용하려면 알찬글이나 좋은글을 만들어본 경험이 있거나, 후보 토론상의 검수 활동에 일정 활동을 했어야 승인되도록 할 수도 있고, 그 반대로 알찬글과 좋은글의 검수 활동을 많이 하신 분에게 검수자의 특권을 부여할 수도 있겠지요. 밥풀떼기 (토론) 2025년 10월 24일 (금) 08:08 (KST)[답변]
의견 감사합니다. 말씀해주신 대로 검수를 어떻게 하느냐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아이디어가 있을 수 있고, 밥풀떼기님이 제시해주신 의견도 한국어 위키백과 내에서 시도해 볼만하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검수를 어떤 방식으로 진행할 지에 대해 아직 뚜렷한 아이디어나 의견은 없지만, 저 뿐만 아니라 다른 사용자 분들도 이 토론에 참여하여 생산적인 토론으로 이어질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 Nt 2025년 10월 24일 (금) 13:05 (KST)[답변]
알찬 글/좋은 글/알찬 목록 활성화와 관련한 아이디어는 개인적으로 마음에 듭니다. :D — Nt 2025년 10월 24일 (금) 13:16 (KST)[답변]

Looking for data of 리

[편집]

Hello everyone. I am an user who mostly writes for the german wikipedia and I am looking for some help. I currently write articles about korean places and randomly started with several 리 in 한림읍 on 제주도. With my limited korean skills, I struggle to navigate websites of the korean government and therefore ask for some kind help for finding current (and maybe old) data on the population of each 리. so far, i've only found excel sheets with the population of the 읍, but never for the 리. Feel free to answer in Korean and thank you in advance! Dario Mazzucchelli (토론) 2025년 10월 26일 (일) 06:31 (KST)[답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