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위키백과:사랑방 (전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사랑방 (전체)

이 곳은 모든 사랑방 문서의 현재 토론 중인 내용을 볼 수 있는 공간입니다. (새로 고침)

사랑방의 예전 토론은 과거 토론 목록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새로운 토론을 시작하려면 각 주제의 사랑방으로 가서 '새로운 주제' 버튼을 클릭해 주세요.
  • 토론에 의견을 남기려면 문단 오른쪽의 '편집' 버튼을 눌러 주세요.
  • 모든 사랑방의 보존문서를 보려면 위키백과:사랑방/보존문서를 방문해 주세요.
위키백과 소식
  • 위키컨퍼런스 서울 2025가 10월 25일 열렸습니다.
의견 요청

일반

[편집]

새로운 추상 위키백과 프로젝트의 이름을 결정하는 데 도움을 주세요.

[편집]

안녕하세요. 새로운 추상 위키백과 위키 프로젝트의 이름을 정해 주세요. 이 프로젝트는 사용자가 위키함수의 함수와 위키데이터의 데이터를 결합하여 지원되는 모든 언어로 자연어 문장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위키입니다. 이렇게 생성된 문장은 모든 위키백과(또는 다른 곳)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투표는 두 차례 진행되며, 각 라운드마다 후보자에 대한 법적 검토가 진행됩니다. 투표는 2025년 10월 20일과 11월 17일에 시작됩니다. 최종 프로젝트 이름은 2025년 12월 중순에 선정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참여를 원하시면 메타위키에서 자세한 내용을 확인하고 지금 바로 투표하세요. 감사합니다!


-- User:Sannita (WMF) (talk) 2025년 10월 20일 (월) 20:43 (KST)[답변]

시작된 지 1년 가까이 되어가는 토론에 대한 참여 요청

[편집]

안녕하세요, 토론 참여 독려를 하기 위해 글을 올립니다. 현재 위키백과:알찬 글 후보, 위키백과:좋은 글 후보, 위키백과:알찬 목록 후보에는 문서의 양과 질을 고려했을 때 선정 가능성이 높고 뛰어난 글들이 후보로 올라와 있지만, 대부분의 토론이 올해 초에 시작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토론 참여자 수가 1~2명이거나 찬성 혹은 반대 표가 1개 정도에 그치는 상황이라 문서의 선정/기각 여부를 판단하는 입장에서도 총의가 모였다고 판단하기 어려운 실정입니다. 토론 참여자 저조를 이유로 기각할 수도 있겠지만, 개인적으로는 이대로 두기에 안타까운 토론들이 많아 선정/기각을 하지 않고 기다려 보았습니다. 올해도 벌써 10월 하순에 접어들고 있는데, 저는 이 토론들이 올해 안에는 결론을 낼 수 있기를 바라고 있습니다. 혹시 의견 남기는 것에 대한 부담이 있으시다면, 저도 후보를 올려봤던 입장에서 작고 사소한 의견이라도 힘이 된다는 걸 매번 느꼈기에 어떤 분이시던 적극적으로 의견을 개진해주신다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 Nt 2025년 10월 21일 (화) 18:42 (KST)[답변]

Growth News #35

[편집]

2025년 10월 22일 (수) 19:23 (KST)

WikiVault 등 기계번역 생성 문서의 미검수 문제

[편집]

10월 초 추석 챌린지를 통해 WikiVault 생성 문서 가운데 미검수 문서에 대한 정리작업이 이루어졌고, 많은 분들의 참여로 약 100여개의 문서가 개선되었습니다. 그러나 일주일이 지난 지금, WikiVault나 기타 기계번역 생성 문서의 미검수 문제가 아무런 조치나 제한 없이 지속되었고, 결국 미검수 문서의 규모가 챌린지 이전 수준으로 되돌아오면서 무용지물이 된 상황입니다.

미검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시스템적인 면에서 보다 확실한 조치가 필요하다고 느끼는 만큼, 다음의 두 가지 조치를 제안해 봅니다.

  1. 3만 바이트 이상의 단일 기계번역 생성 금지
  2. 기계번역 생성 후, 일주일 동안 생성자 본인에 의해 검수나 개선이 단 한번도 이루어지지 않은 문서는 초안 문서로 이동하거나 빠른 삭제 조치.

이 두 가지의 목적은 기계번역의 빠른 생성 속도를 늦추고, 문서 생성자들에게 책임감을 갖도록 하며, 편집자들의 검수 활동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습니다 (단언컨대 기계번역을 금지하려는 것이 아닙니다). 첫번째의 경우, 문서 생성자가 제대로 읽어보지도 않고 생성 버튼을 눌렀는데 일반 검수자가 제대로 검수하기 어려운 분량이어서 방치되어 버리는 상황을 방지하려는 목적입니다. 두번째는 생성자 본인이 내용을 검수하는 최소한의 책임감을 부여하여, 검수자의 수고를 덜고 자정노력을 유도하려는 목적입니다.

이러한 조치와 더불어 위키백과토론:2025 추석 챌린지를 통해서도 지적된 바 있듯이 '어떻게 검수해야 할 것인가'에 관한 세부적인 가이드라인 (지침, 안내문, 수필)의 마련이 필수적이라고 생각합니다. 가이드라인의 수립을 통해 정책적 활동, 에디터톤과 챌린지 활동의 기준으로 적용할 수 있고 지금의 문제에서도 제대로 대응할 수 있으리라고 생각합니다. 밥풀떼기 (토론) 2025년 10월 23일 (목) 11:24 (KST)[답변]

1, 2번의 조치에 대체로 동의하는데, 2번의 경우 검수나 개선이 이루어졌는지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을 생각하고 계신지 궁금합니다. 애초에 WikiVault로 처음에 문서를 생성했을 때 번역의 품질이 준수해서 수정을 가하지 않을 수도 있고, 처음 문서 생성 당시에 검수를 하고 글을 생성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WikiVault를 사용해 문서를 생성한 사용자가 토씨 몇 개 고치고 문서 생성 후 검수나 개선을 했다고 주장할 수 있을 것 같구요. — Nt 2025년 10월 23일 (목) 12:32 (KST)[답변]
2번의 기준은 '단 한번이라도 검수나 수정 관련 편집을 했는가' 입니다. 보수적인 선에서 잡은 최소한의 조치이고, 실질적으로도 검수가 이루어졌는지 눈으로 읽지 않는 이상 쉽고 빠른 분류가 어렵기 때문에, 편집 유무만 판별하는 선에서 이동 조치를 하는 것이 좋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문서 생성자의 주장보다는 검수를 전문적으로 하는 분이 확인하셔야 검수 유무를 인정할 수 있다고 봅니다. 밥풀떼기 (토론) 2025년 10월 23일 (목) 14:20 (KST)[답변]
음, 크게 두 가지 절차인 것 같네요. 문서 생성 후 최소한의 편집이 있다면 초안 이동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지만, 2차적으로 검수를 전문적으로 하는 사람의 판단이 중요하겠네요. 근데 전문적으로 검수를 누가 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아직 물음표가 남는 것 같습니다. — Nt 2025년 10월 23일 (목) 15:55 (KST)[답변]
그렇죠. 그 부분은 검수자 라는 새로운 단위의 사용자를 만들든, 검수 프로젝트라는 활동의 형태로 나아가든, 백:동료 평가처럼 검수가 이루어지는 공간의 형태로 만들든 여러가지 방안이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이것은 검수 활동에 대한 공동체의 적극적인 참여가 존재해야 원활하기 때문에 지금 상황에선 무리인 측면이 존재합니다. 지금 이 시간에도 기계번역 생성 문서의 미검수 방치 문제는 계속해서 심화되고 있는 실정이기 때문에, 이것들을 관리 대상으로 분류하기 위한 최소한의 조치를 도입할 필요가 있습니다. WikiVault만 보더라도 생성된 문서의 절대다수가 어떠한 편집 없이 방치된 문서인 경우이기에 더더욱 그렇습니다. 밥풀떼기 (토론) 2025년 10월 24일 (금) 08:05 (KST)[답변]
검수 활동 자체에 대해서는 Nt님께서 고민하시는 알찬 글, 좋은 글 활성화와도 연계해볼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 토론에서 번역된 문서가 후보로 올라올 때 주로 이루어지는 것이 번역 검수이기 때문입니다. WikiVault를 사용하려면 알찬글이나 좋은글을 만들어본 경험이 있거나, 후보 토론상의 검수 활동에 일정 활동을 했어야 승인되도록 할 수도 있고, 그 반대로 알찬글과 좋은글의 검수 활동을 많이 하신 분에게 검수자의 특권을 부여할 수도 있겠지요. 밥풀떼기 (토론) 2025년 10월 24일 (금) 08:08 (KST)[답변]
의견 감사합니다. 말씀해주신 대로 검수를 어떻게 하느냐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아이디어가 있을 수 있고, 밥풀떼기님이 제시해주신 의견도 한국어 위키백과 내에서 시도해 볼만하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검수를 어떤 방식으로 진행할 지에 대해 아직 뚜렷한 아이디어나 의견은 없지만, 저 뿐만 아니라 다른 사용자 분들도 이 토론에 참여하여 생산적인 토론으로 이어질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 Nt 2025년 10월 24일 (금) 13:05 (KST)[답변]
알찬 글/좋은 글/알찬 목록 활성화와 관련한 아이디어는 개인적으로 마음에 듭니다. :D — Nt 2025년 10월 24일 (금) 13:16 (KST)[답변]

Looking for data of 리

[편집]


기술

[편집]

기술 소식: 2025년 36주

[편집]

MediaWiki message delivery 2025년 9월 2일 (화) 05:48 (KST)[답변]

이동 속도제한 변경 제안

[편집]
'wgRateLimits' => [
	// Temporary users are subjected to newbie, ip and subnet limits
	'default' => [
		'move' => [
			'newbie' => [ 2, 120 ],
			# To limit high-rate move page attacks on smaller wikis
			# Newbie limit was trivially avoided by a patient vandal
			'user' => [ 8, 60 ],
		],

위 내용은 위키미디어 위키에서의 이동 속도제한의 기본값입니다. 기계 언어를 한국말로 번역해보면:

  • "신규 사용자" (개발자 문서 등에서 "newbie"의 정의가 아주 명시적으로 이루어져있지는 않지만 일반적으로 자동인증되지 않은 사용자가 포함된다고 서술되어 있습니다)는 120초 (2분)마다 2개의 문서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
  • 자동인증된 사용자는 1분마다 8개의 문서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한국어 위키백과에서 이동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사용자는 모두 자동인증된 사용자이므로 (속도제한에서 완전히 면제되는 관리자 또는 계정 생성자를 제외한) 사실상 모든 사용자는 user 제한을 적용받아 1분에 8개의 문서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

문서 이동을 이용한 문서 훼손은 단순 편집에 의한 문서 훼손보다 원상복구가 훨씬 귀찮기 때문에, 이를 좀 더 억제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문서 이동(move)에 대한 속도제한을 변경할 것을 제안합니다.

  • newbie: 그대로 유지
  • user: 120초 (2분)에 5개 (장기인증되지 않은, 자동인증된 사용자에게는 이 제한이 적용됨)
  • 장기인증된 사용자 (extendedconfirmed): 60초 (1분)에 10개

문서 훼손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되돌리기 기능 사용자 권한에 추가적인 속도 제한 완화를 고려해 봤으나 2분에 5개 이상 이동할 수 없으면 1분에 10개 되돌리기로 충분히 복구가 가능하다고 생각되어 일단 별도로 추가하지 않았습니다.

참고로 관리자는 "속도 제한에 영향을 받지 않음" (noratelimit)에 의해 속도 제한으로부터 면제되므로 고려 대상이 아닙니다.

자동인증된 사용자가 4일/10개 편집부터 30일/500개 편집의 꽤 거대한 사용자 풀이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밸런스를 유지하려고 해 보았습니다. 숫자는 충분히 조절이 가능하니 의견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regards, Revi 2025년 9월 4일 (목) 06:24 (KST)[답변]

변경에 찬성합니다. Vela* (토론 / 기여) 2025년 9월 5일 (금) 02:03 (KST)[답변]
찬성 ginaan기나ㅏㄴ(˵⚈ε⚈˵) 2025년 9월 12일 (금) 20:24 (KST)[답변]
찬성합니다. --YellowTurtle9 (토론) 2025년 9월 12일 (금) 20:26 (KST)[답변]
찬성 --Whitetiger (토론) 2025년 9월 13일 (토) 19:39 (KST)[답변]
찬성 Aspere (토론) 2025년 9월 16일 (화) 11:06 (KST)[답변]
10월 13일 전후까지 별도의 반대 의견이 없으신 경우 변경을 진행하고자 합니다. — regards, Revi 2025년 10월 4일 (토) 17:20 (KST)[답변]
찬성합니다. Podofollapo (토론) 2025년 10월 10일 (금) 17:49 (KST)[답변]
적용되었습니다. — regards, Revi 2025년 10월 13일 (월) 17:05 (KST)[답변]

기술 소식: 2025년 37주

[편집]

MediaWiki message delivery 2025년 9월 9일 (화) 10:12 (KST)[답변]

Mbox 계열 틀 아이콘 변경 요청

[편집]

이전에 제가 여기에서 Mbox 계열 틀에 쓰이는 아이콘들의 디자인을 플랫 디자인 기반으로 변경해줄 것을 요청한 바 있습니다. 다만, 다시 확인해 보니 신속/삭제와 내용의 아이콘의 모양이 같고 색채만 달라서 색각 이상인 사용자가 구별하기 어려울 것으로 판단되어, 아래와 같이 요청하게 되었습니다.

--RhapsoDJ (토론) 2025년 9월 12일 (금) 12:46 (KST)[답변]

@Ykhwong: --RhapsoDJ (토론) 2025년 9월 12일 (금) 17:20 (KST)[답변]
안녕하세요, 제가 담당이 아닌데 핑을 주셨네요. 지금 글만 볼 때 무엇을 수정해야 하는지 감이 오지 않습니다. Achtung.svg 문구가 들어간 페이지는 아래와 같은데, 이 중 어느 것을 수정하면 되는지 특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그러면 권한이 있는 사용자가 수정을 할 수 있습니다.
여러 페이지의 수정이 필요한 경우라면 좀 다른 이야기일 수 있지만, 보호를 이유로 직접 수정이 어려운 페이지의 경우 {{보호 편집 요청}} 틀을 사용하여 개별 토론 페이지에서 수정 요청하는 것이 절차이니 앞으로는 이것도 고려를 부탁드립니다. 고맙습니다. --ted (토론) 2025년 9월 12일 (금) 18:02 (KST)[답변]
저번에 다른 관리자님이 아닌 ted님께서 수정해 주셔서 말씀을 드린 겁니다. 두 아이콘 중에서 틀에 따라 알맞다고 생각되는 걸로 하면 될 것 같아요. --RhapsoDJ (토론) 2025년 9월 12일 (금) 23:01 (KST)[답변]
과거에 제가 수정했다는 의미가, 제가 담당자임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꼭 저만이 해야 할 일이 아니라면, 가능하면 이런 호출(핑)을 원하지 않습니다. 여유가 있을 때 가능한 사용자가 자발적으로 하는 것이지, 지금은 제가 분주한 편입니다. 살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ted (토론) 2025년 9월 13일 (토) 09:23 (KST)[답변]
알겠습니다. 다만 보호 편집 요청은 틀을 달아도 잘 이루어지지 않다보니 부득이 호출을 했습니다. --RhapsoDJ (토론) 2025년 9월 13일 (토) 13:30 (KST)[답변]
Mbox 계열 틀들의 신속, 삭제 변수 기본 아이콘만 바꾸면 돼요. 다른 틀들의 Achtung.svg은 그대로 두고요. --RhapsoDJ (토론) 2025년 9월 12일 (금) 23:01 (KST)[답변]

기술 소식: 2025년 38주

[편집]

MediaWiki message delivery 2025년 9월 16일 (화) 02:05 (KST)[답변]

해당 틀이 영위백 틀과 많이 달라서 Wikivault로 가져올 때 늘 각주에 오류가 생깁니다. 이거 때문에 제가 한번 코드를 수정하려고 해봤는데 너무 어려워서.. 혹시 영위백 코드를 한위백에 맞게 변경해서 수정해주실 수 있을까요? ㅠㅠ 틀:웹 인용부터 조금 문제가 있어보이는데 너무 복잡하네요.. Camilasdandelions (talk!) 2025년 9월 20일 (토) 22:23 (KST)[답변]

Tech News: 2025-39

[편집]

MediaWiki message delivery 2025년 9월 23일 (화) 07:53 (KST)[답변]

기술 소식: 2025년 40주

[편집]

MediaWiki message delivery 2025년 9월 30일 (화) 05:50 (KST)[답변]


기술 소식: 2025년 41주

[편집]

MediaWiki message delivery 2025년 10월 7일 (화) 02:21 (KST)[답변]

문서 각주 출력 오류에 관해 한 가지 질문 드립니다.

[편집]

안녕하세요, 한 가지 각주 기술 문제로 문의드립니다. 대한민국의 올림픽 기수 목록의 C주에서 '안용 오류'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데 이를 수정하려고 봤더니 내적으로는 문법에 문제가 없는 이상한 현상이 발견되고 있습니다. 다른 문서에서 각주를 가져와서 이런 것인지, 아니면 제가 발견 못한 문제가 있는 것인지 궁금하네요... --YellowTurtle9 (토론) 2025년 10월 7일 (화) 20:36 (KST)[답변]

기술 소식: 2025년 42주

[편집]

MediaWiki message delivery 2025년 10월 14일 (화) 03:57 (KST)[답변]

기술 소식: 2025년 43주

[편집]

MediaWiki message delivery 2025년 10월 21일 (화) 04:34 (KST)[답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