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O 31-6
보이기
ISO 31-6은 국제 표준인 ISO 31의 일부로, 빛과 관련 전자기파에 관련된 물리량 및 물리 단위의 명칭과 기호를 정의한다. 이 표준은 ISO 80000-7으로 대체되었다.
ISO 31-6은 1980년에 처음 발행되었고 1985년에 개정되었다. 1992년에 개정되었고 1998년에 수정되었다. 이 표준은 2008년에 ISO 80000-7으로 대체되면서 최종적으로 철회되었다.[1]
정의
[편집]1980년에 정의된 ISO 31-6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2]
| 양 | 단위 | 비고 | ||||
|---|---|---|---|---|---|---|
| 이름 | 기호 | 이름 | 기호 | 정의 | ||
| 주파수 | f, v | 헤르츠 | Hz | 1 Hz = 1 s−1 | ||
| 각주파수 | ω | 역초, 초 마이너스 1승 | s−1 | |||
| 라디안 매 초 | rad/s | |||||
| 파장 | λ | 미터 | m | |||
| 옹스트롬 | Å | 1 Å = 10−10 m | 1 Å = 10 nm | |||
| 파수, 반복수 | σ | 역미터, 미터 마이너스 1승 | m−1 | 다중 cm−1이 자주 사용된다. | ||
| 원형 파수, 원형 반복수 | k | |||||
| 진공 중 전자기파의 전파 속도 (속력) | c, c0 | 미터 매 초 | m/s | c = (2.99792458 ± 0.000000012) × 108 m/s.[a] 때때로 c는 매질 내의 위상 속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며, 이 경우 c0는 진공 내의 속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 ||
| 복사 에너지 | Q, W, (U, Qe) |
줄 | J | 1 J = 1 kg·m2/s2 | ||
| 복사 에너지 밀도 | w, (u) | 줄 매 세제곱 미터 | J/m3 | |||
| 복사 에너지 밀도의 스펙트럼 농도 (파장 기준), 스펙트럼 복사 에너지 밀도 (파장 기준) | wλ | 줄 매 미터 네제곱 | J/m4 | |||
| 복사력, 복사 에너지 플럭스 | P, Φ, (Φe) | 와트 | W | 1 W = 1 J/s | ||
| 복사 에너지 유량률 | φ, ψ | 와트 매 제곱 미터 | W/m2 | |||
| 복사 강도 | I, (Ie) | 와트 매 스테라디안 | W/sr | |||
내용주
[편집]- ↑ This is the text of the note in the standard ISO 31-6 as published in 1980. At the time, the metre was not defined in terms of the speed of light. Today, the speed of light is defined as exactly 299,792,458 m/s.
각주
[편집]- ↑ “ISO 31-6:1980” (영어).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2024년 2월 12일에 확인함.
- ↑ 《International Standard ISO 31/6: Quantities and units of light and related electromagnetic radiations》 (PDF) Seco판.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1980년 12월 15일. 2024년 2월 11일에 확인함 – iTeh 경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