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70
보이기
| 369 ← 370 → 371 | |
|---|---|
| 읽는 법 | 삼백칠십 |
| 세는 법 | 삼백일흔 |
| 한자 | 三百七十 |
| 소인수 분해 | 2 × 5 × 37 |
| 로마 숫자 | CCCLXX |
| 2진수 | 1011100102 |
| 3진수 | 1112013 |
| 4진수 | 113024 |
| 5진수 | 24405 |
| 6진수 | 14146 |
| 8진수 | 5628 |
| 12진수 | 26A12 |
| 16진수 | 17216 |
| 20진수 | IA20 |
| 36진수 | AA36 |
| φ(370) | 144 |
| σ*(370) | 684 |
| d(370) | 8 |
| σ(370) | 684 |
| μ(370) | -1 |
| M(370) | -2 |
| 수 목록 · 정수 | |

370(삼백칠십)은 369보다 크고 371보다 작은 자연수다.
수학
[편집]- 합성수로, 그 약수는 1, 2, 5, 10, 37, 74, 185, 370이다. 진약수의 합은 314이므로, 370은 부족수다.
- 40번째 쐐기수다. 앞의 쐐기수는 366, 다음 쐐기수는 374다.
- 10번째 십각수다. 앞의 십각수는 297, 다음 십각수는 451이다.
-
- 서로 다른 두 자연수의 제곱합으로 나타내는 방법이 두 가지인 수다.
-
- 370은 서로 다른 두 자연수의 세제곱합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각 자릿수(3, 7, 0)의 세제곱합으로 이루어진 숫자다.
- 은 370으로 나누어떨어진다.
과학
[편집]교통
[편집]항공
[편집]도로
[편집]군사
[편집]문화유산
[편집]- 대한민국의 보물 제370호: 울주 간월사지 석조여래좌상
- 대한민국의 사적 제370호: 강화 가릉
기타
[편집]| 이 글은 숫자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