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돌고래
보이기
	
	
| 
 | |
|---|---|
참돌고래  | |
참돌고래와 사람의 크기 비교  | |
| 생물 분류ℹ️ | |
| 계: | 동물계 | 
| 문: | 척삭동물문 | 
| 강: | 포유강 | 
| 목: | 우제목/경우제목 | 
| 아목: | 경하마형아목 | 
| 하목: | 고래하목 | 
| 소목: | 이빨고래소목 | 
| 과: | 참돌고래과 | 
| 속: | 참돌고래속(Delphinus) | 
| 종: | 돌고래 | 
| 학명 | |
| Delphinus delphis | |
| Linnaeus, 1758 | |
| 참돌고래의 분포 | |
돌고래의 분포 지역  | |
| 보전상태 | |
| 
 
  | |
참돌고래(Delphinus delphis)는 고래 중 가장 번성한 종으로, 그 개체 수가 600만에 이른다.[2] 종명은 ‘돌고래’지만 보통 수족관에 있거나 대중적으로 잘 알려진 큰돌고래속 돌고래와는 차이가 있다.
분류
[편집]참돌고래는 참돌고래속(학명: Delphinus)에 속하는 유일한 종이다. 2010년대까지는 긴부리참돌고래(D. capensis)와 짧은부리참돌고래(D. delphis)가 다른 종으로 분류됐었으나 이후 유전적 관계 등의 분석을 통해 지금은 같은 종으로 분류한다.[3][4][5] 다음 네 개의 아종으로 분류되어 있다.[3][6]
- D. d. delphis
 - D. d. bairdii
 - D. d. ponticus
 - D. d. tropicalis
 
분포와 생태
[편집]북위 40~60도와 남위 50도 사이의 열대·온대 바다의 해안가를 따라 서식한다. 유광층에서 깊게는 중층원양대의 오징어와 무리짓는 물고기를 사냥한다.
돌고래는 무리지어 생활하는데 많게는 수백에서 수천이 모여 살기도 한다.[7]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Braulik, G.; Jefferson, T.A.; Bearzi, G. (2021). “Delphinus delphis”. 《IUCN 적색 목록》 (IUCN) 2021: e.T134817215A199893039. doi:10.2305/IUCN.UK.2021-2.RLTS.T134817215A199893039.en. 2021년 11월 19일에 확인함.
 - ↑ Hammond, P.S., Bearzi, G., Bjørge, A., Forney, K., Karczmarski, L., Kasuya, T., Perrin, W.F., Scott, M.D., Wang, J.Y., Wells, R.S. & Wilson, B. 2008. Delphinus delphis.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08: e.T6336A12649851. https://dx.doi.org/10.2305/IUCN.UK.2008.RLTS.T6336A12649851.en. Downloaded on 10 July 2020.
 - ↑ 가 나 Handbook, Whale Watching (2020년 7월 10일). “Common Dolphin” (영어). 《Whale Watching Handbook》. 2020년 7월 10일에 확인함.
 - ↑ Cunha, Haydée A.; Castro, Rocio Loizaga de; Secchi, Eduardo R.; Crespo, Enrique A.; Lailson-Brito, José; Azevedo, Alexandre F.; Lazoski, Cristiano; Solé-Cava, Antonio M. (2015년 11월 11일). “Molecular and Morphological Differentiation of Common Dolphins (Delphinus sp.) in the Southwestern Atlantic: Testing the Two Species Hypothesis in Sympatry” (영어). 《PLOS ONE》 10 (11): e0140251. Bibcode:2015PLoSO..1040251C. doi:10.1371/journal.pone.0140251. ISSN 1932-6203. PMC 4641715. PMID 26559411.
 - ↑ McGowen, Michael R; Tsagkogeorga, Georgia; Álvarez-Carretero, Sandra; dos Reis, Mario; Struebig, Monika; Deaville, Robert; Jepson, Paul D; Jarman, Simon; Polanowski, Andrea; Morin, Phillip A; Rossiter, Stephen J (2019년 10월 21일). “Phylogenomic Resolution of the Cetacean Tree of Life Using Target Sequence Capture”. 《Systematic Biology》 69 (3): 479–501. doi:10.1093/sysbio/syz068. ISSN 1063-5157. PMC 7164366. PMID 31633766.
 - ↑ “List of Marine Mammal Species and Subspecies|May 2022”. Society for Marine Mammalogy. 2022년 5월 1일에 확인함.
 - ↑ Perrin, W. (2002). 〈Common Dolphins〉. Perrin, W.; Wursig, B.; Thewissen, J. (편집). 《Encyclopedia of Marine Mammals》. Academic Press. 245–248쪽. ISBN 978-0-12-551340-1.
 
| 이 글은 고래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