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누부리고래
보이기
|
| |
|---|---|
사람과 비교한 아르누부리고래 | |
| 생물 분류ℹ️ | |
| 계: | 동물계 |
| 문: | 척삭동물문 |
| 강: | 포유강 |
| 목: | 우제목/경우제목 |
| 아목: | 경하마형아목 |
| 하목: | 고래하목 |
| 소목: | 이빨고래소목 |
| 과: | 부리고래과 |
| 속: | 부리고래속 |
| 종: | 아르누부리고래 (B. arnuxii) |
| 학명 | |
| Berardius arnuxii | |
| [출처 필요] | |
| 아르누부리고래의 분포 | |
아르누부리고래의 분포 지역 | |
| 보전상태 | |
|
| |
아르누부리고래(학명: Berardius arnuxii)는 부리고래과(또는 뼈죽주둥이고래과)에 속하는 고래의 일종이다.[2] 1851년 듀베르노이(Duvernoy)가 뉴질랜드에서 발견된 두개골로부터 신종을 보고했다. 속명 "베라르디우스"(Berardius)는 이 두개골을 프랑스로 옮긴 선박의 선장 베르나르(Berard)의 이름에서 유래했다. 종소명 arnuxii는 같은 선박의 의사 아르누(Arnoux)의 이름에서 유래했다.[3]
각주
[편집]- ↑ Brownell Jr., R.L. 2020. Berardius arnuxii.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20: e.T2762A50351220. https://dx.doi.org/10.2305/IUCN.UK.2020-3.RLTS.T2762A50351220.en. Downloaded on 11 March 2021.
- ↑ Mead, J.G.; Brownell, R.L., Jr. (2005). 〈Order Cetacea〉 [고래목] 3판 (영어). Wilson, D.E.; Reeder, D.M (편집).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사. 723–743쪽. ISBN 978-0-8018-8221-0. OCLC 62265494.
- ↑ “보관된 사본”. 2008년 7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2월 6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