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OS ONE
보이기
| PLOS ONE | |
|---|---|
| 약어 (ISO 4) | PLOS ONE |
| 분야 | 여러분야 |
| 출판 정보 | |
| 출판사 | Public Library of Science |
| 출판 역사 | 2006–present |
| 출판 주기 | Upon acceptance |
| 오픈 액세스 | Yes |
| 라이선스 |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License 4.0 International |
| 피인용지수 (2019) | 2.740 |
| 색인 | |
| ISSN | 1932-6203 |
| LCCN | 2006214532 |
| OCLC 번호 | 228234657 |
| 외부 링크 | |
PLOS ONE은 2006년부터 퍼블릭 라이브러리 오브 사이언스에서 간행되는 과학 저널이다. 과학 및 의학의 기본 조사 연구를 다루고있다.
출간 논문 수
[편집]| 연도 | 출간 논문 수 |
|---|---|
| 2007 | 1,200[1] |
| 2008 | 2,800[1] |
| 2009 | 4,406[2] |
| 2010 | 6,749[2] |
| 2011 | 13,798[3] |
| 2012 | 23,468[4] |
| 2013 | 31,500[5] |
| 2014 | 30,040[6] |
| 2015 | 28,107[7] |
| 2016 | 22,054[8] |
각주
[편집]- ↑ 가 나 Kaiser, Jocelyn (2014년 6월 4일). “Output Drops at World's Largest Open Access Journal”. 《Science》. 2015년 10월 26일에 확인함.
- ↑ 가 나 Morrison, Heather (2011년 1월 5일). “PLoS ONE: now the world's largest journal?”. 《Poetic Economics Blog》. 2011년 1월 16일에 확인함.
- ↑ Taylor, Mike (2012년 2월 21일). “It's Not Academic: How Publishers Are Squelching Science Communication”. 《Discover Magazine》. 2012년 3월 3일에 확인함.
- ↑ Hoff, Krista (2013년 1월 3일). “PLOS ONE Papers of 2012”. 《everyONE Blog》. 2013년 5월 21일에 확인함.
- ↑ Kayla Graham (2014년 1월 6일). “Thanking Our Peer Reviewers – EveryONEEveryONE”. Blogs.plos.org. 2015년 5월 17일에 확인함.
- ↑ “PLoS One Impact Factor|2016|2015|2014 - BioxBio”. 《www.bioxbio.com》. 2016년 10월 17일에 확인함.
- ↑ Davis, Phil (2016년 2월 2일). “As PLOS ONE Shrinks, 2015 Impact Factor Expected to Rise”. 《The Scholarly Kitchen》. 2016년 10월 17일에 확인함.
- ↑ Davis, Phil (2017년 1월 5일). “PLOS ONE Output Drops Again In 2016”. 《The Scholarly Kitchen》. 2017년 1월 5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 PLOS ONE
- 공식 웹사이트
| 이 글은 책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