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b+
보이기
	
	
kdb+는 KX에서 개발하고 판매하는 인메모리 데이터베이스(IMDB) 기능을 갖춘 열 기반 관계형 시계열 데이터베이스(TSDB)이다.[1] 이 데이터베이스는 일반적으로 고주파 트레이딩(HFT)에서 대규모 데이터 세트를 고속으로 저장, 분석, 처리 및 검색하는 데 사용된다.[2] kdb+는 수십억 개의 기록을 처리하고 데이터베이스 내의 데이터를 분석하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3] 데이터베이스는 여러 운영 체제에서 32비트 및 64비트 버전으로 제공된다.[4] 금융기관은 주식이나 상품거래소 데이터 등 시계열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해 kdb+를 사용한다.[5] 이 데이터베이스는 포뮬러 원 경주의 실시간 분석과 함께 에너지 거래, 통신, 센서 데이터, 로그 데이터, 기계 및 컴퓨터 네트워크 사용 모니터링[6]과 같은 상품 시장을 포함하여 시간에 민감한 기타 데이터 애플리케이션에도 사용되었다.[7]
각주
[편집]- ↑ Gutierrez, Daniel (2015년 1월 19일). “Kdb+ and the Internet of Things/Big Data”. Inside Big Data. 2016년 6월 8일에 확인함.
- ↑ “Kx Systems and High Frequency Trading”. The Trading Mesh. 2011년 6월 10일. 2018년 12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6월 8일에 확인함.
- ↑ Groenfeldt, Tom (2012년 9월 24일). “At Kx Systems Big Data Is Old News”. 《Forbes》. 2016년 6월 8일에 확인함.
- ↑ Sbardella, Luca (2009년 10월 2일). “A first look at kdb+”. Quantmind. 2016년 6월 8일에 확인함.
- ↑ Eadline, Douglas (2014년 9월 9일). “Working Down the Column: The Kdb+ Community”. Cluster Monkey. 2016년 6월 8일에 확인함.
- ↑ Stamper, Jason (2014년 9월 4일). “Kx Systems readies faster database in push beyond financial services”. 《451 Research》.
- ↑ “Williams Racing Announce KX as an Official Supplier” (영어). 《Williams Racing》. 2023년 1월 24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 Kdb+ - 공식 웹사이트
- Developer Community
- Document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