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ck in the U.S.
| 《Back in the U.S.》 | ||||
|---|---|---|---|---|
![]() | ||||
| 폴 매카트니의 라이브 음반 | ||||
| 발매일 | 2002년 11월 11일[1] | |||
| 녹음일 | 2002년 4월 1일~5월 18일 | |||
| 장르 | 록 | |||
| 길이 | 115:21 | |||
| 언어 | 영어 | |||
| 레이블 | 캐피틀 | |||
| 프로듀서 | 데이비드 카네 | |||
| 폴 매카트니 연표 | ||||
| ||||
| 평가 점수 | |
|---|---|
| 출처 | 점수 |
| AllMusic | |
| Robert Christgau | D[3] |
| Encyclopedia of Popular Music | |
| Entertainment Weekly | B–[5] |
| The Essential Rock Discography | 5/10[6] |
| The Rolling Stone Album Guide | |
| Uncut | |
《Back in the U.S.》는 폴 매카트니가 2001년 발매한 《Driving Rain》의 지원을 받아 2002년 봄 미국 Driving USA Tour의 더블 라이브 음반이다. 이 음반은 거의 10년 만에 처음으로 열린 그의 콘서트를 기념하기 위해 DVD와 함께 발매되었다.
밴드
[편집]《Driveing Rain》에 참여한 대부분의 뮤지션들을 활용해 1989년~90년과 1993년 매카트니의 이전 두 차례 투어에 참여했던 드럼과 키보디스트 폴 위켄스에 러스티 앤더슨과 브라이언 레이, 아베 라보리엘 주니어로 구성된 라이브 무대를 새로 꾸몄다.[9] 2019년 현재 이들 4명의 뮤지션은 여전히 매카트니의 투어 밴드 멤버다.
발매
[편집]《Back in the U.S.》는 2002년 11월, 북미와 일본 독점 발매물로 발행되었다[1](《Back in the World》라는 제목이 붙은 약간의 트랙 리스트 변경의 국제판이 몇 달 후에 발매되었다). 《Back in the U.S.》는 수출 호조를 보이며 전 세계적으로 200만 대 이상의 매출을 올렸다. 이 음반은 미국 차트에서 224,000장의 판매량으로 8위에 데뷔하여 1991년 닐슨 사운드스캔이 소개된 이후 한 주 동안 그의 가장 높은 판매량을 기록했다.[10] 이 음반은 미국에서 2백만 장 이상의 출하량에 대해 이중 플래티넘 인증을 받았다. 일본 차트에서 톱 5에 진입하며 매카트니가 이 나라에서 가장 많은 톱 10 음반을 가진 서양 가수 중 한 명이 되었다.[11] 동봉된 DVD도 판매 호조로 판명되었다. 미국에서는 바이닐로 발매되지 않은 첫 번째 폴 매카트니 음반이었다.
곡 목록
[편집]모든 곡들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폴 매카트니와 존 레논에 의해 작사/작곡하였다.
CD
[편집]| # | 제목 | 작사·작곡 | 재생 시간 |
|---|---|---|---|
| 1. | 〈Hello, Goodbye〉 | 3:46 | |
| 2. | 〈Jet〉 | 폴 매카트니, 린다 매카트니 | 4:02 |
| 3. | 〈All My Loving〉 | 2:08 | |
| 4. | 〈Getting Better〉 | 폴 매카트니 | 3:10 |
| 5. | 〈Coming Up〉 | 5:02 | |
| 6. | 〈Let Me Roll It〉 | 폴 매카트니, 린다 매카트니 | 4:24 |
| 7. | 〈Lonely Road〉 | 폴 매카트니 | 3:12 |
| 8. | 〈Driving Rain〉 | 폴 매카트니 | 3:11 |
| 9. | 〈Your Loving Flame〉 | 폴 매카트니 | 3:28 |
| 10. | 〈Blackbird〉 | 2:30 | |
| 11. | 〈Every Night〉 | 폴 매카트니 | 2:51 |
| 12. | 〈We Can Work It Out〉 | 2:29 | |
| 13. | 〈Mother Nature's Son〉 | 2:11 | |
| 14. | 〈Vanilla Sky〉 | 폴 매카트니 | 2:29 |
| 15. | 〈Carry That Weight〉 | 3:05 | |
| 16. | 〈The Fool on the Hill〉 | 3:09 | |
| 17. | 〈Here Today〉 | 폴 매카트니 | 2:28 |
| 18. | 〈Something〉 | 조지 해리슨 | 2:33 |
| # | 제목 | 작사·작곡 | 재생 시간 |
|---|---|---|---|
| 1. | 〈Eleanor Rigby〉 | 2:17 | |
| 2. | 〈Here, There and Everywhere〉 | 2:26 | |
| 3. | 〈Band on the Run〉 | 폴 매카트니, 린다 매카트니 | 5:00 |
| 4. | 〈Back in the U.S.S.R.〉 | 2:55 | |
| 5. | 〈Maybe I'm Amazed〉 | 폴 매카트니 | 4:48 |
| 6. | 〈C Moon〉 | 폴 매카트니, 린다 매카트니 | 3:51 |
| 7. | 〈My Love〉 | 폴 매카트니, 린다 매카트니 | 4:03 |
| 8. | 〈Can't Buy Me Love〉 | 2:09 | |
| 9. | 〈Freedom〉 | 폴 매카트니 | 3:18 |
| 10. | 〈Live and Let Die〉 | 폴 매카트니, 린다 매카트니 | 3:05 |
| 11. | 〈Let It Be〉 | 3:57 | |
| 12. | 〈Hey Jude〉 | 7:01 | |
| 13. | 〈The Long and Winding Road〉 | 3:30 | |
| 14. | 〈Lady Madonna〉 | 2:21 | |
| 15. | 〈I Saw Her Standing There〉 | 3:08 | |
| 16. | 〈Yesterday〉 | 2:08 | |
| 17. |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 (Reprise)/The End〉 | 4:39 |
인증
[편집]
|
| ||||||||||||||||||||||||||||||||||||
각주
[편집]- ↑ 가 나 “EMI Music Japan | Release Information”. 2011년 7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6월 12일에 확인함.
- ↑ Erlewine, Stephen Thomas. “Paul McCartney Back in the U.S.”. AllMusic. 2014년 11월 11일에 확인함.
- ↑ Christgau, Robert (22 April 2003). “Not Hop, Stomp”. 《The Village Voice》 (New York). 20 December 2013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9 February 2013에 확인함.
- ↑ Larkin, Colin (2006). 《The Encyclopedia of Popular Music (4th edn)》. New York, NY: Oxford University Press. 1257쪽. ISBN 0-19-531373-9.
- ↑ Tucker, Ken (2002년 11월 29일). “Music Review: Paul McCartney: Back in the U.S.: Live 2002”. 《Entertainment Weekly》. 2009년 4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8월 30일에 확인함.
- ↑ Strong, Martin C. (2006). 《The Essential Rock Discography》. Edinburgh, UK: Canongate. 696쪽. ISBN 978-1-84195-827-9.
- ↑ “Paul McCartney: Album Guide”. rollingstone.com. 2014년 7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12월 22일에 확인함.
- ↑ “Paul McCartney – Back In The US: Live 2002”. 《Uncut》. April 2004. 2014년 11월 25일에 확인함.
- ↑ Sounes, pp. 510–11.
- ↑ Jonathan Cohen 편집 (2002년 12월 4일). “DailyMusicNews”. 2003년 2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3년 2월 19일에 확인함.
- ↑ “(The Carpenters' album debut at the top-3 on the Japanese chart for the first time)” (일본어). 《oricon.co.jp》. Oricon Style. 2009년 11월 23일에 확인함.
- ↑ “Canadian album certifications – Paul McCartney – Back in the US” (영어). 뮤직 캐나다.
- ↑ 가 나 “Guld og platin i august” (덴마크어). ifpi.dk. 2017년 8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8월 21일에 확인함.
- ↑ “RIAJ Certification – February 2003” (PDF) (일본어). Recording Industry Association of Japan. 2010년 8월 7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8월 21일에 확인함.
- ↑ “Japanese album certifications – Paul McCartney – バック・イン・ザ・U.S.~ライヴ2002” (일본어). Recording Industry Association of Japan.
- ↑ “American album certifications – Paul McCartney – Back in the US” (영어). 미국 음반 산업 협회.
- ↑ “Canadian video certifications – Paul McCartney – Back in the US” (영어). 뮤직 캐나다.
- ↑ “Gold-/Platin-Datenbank (Paul McCartney; 'Back in the U.S.')” (독일어). 독일 음반 산업 협회.
- ↑ “American video certifications – Paul McCartney – Back in the U.S.” (영어). 미국 음반 산업 협회.
외부 링크
[편집]- Back in the U.S. - 디스코그스 (발매 목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