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리그컵
| 러시앤캐시컵 2011 | |
|---|---|
| 국가 | |
| 참가 구단 수 | 16구단 | 
| 전년도 우승 구단 | FC 서울 | 
| 우승 구단 | 울산 현대 | 
| 준우승 구단 | 부산 아이파크 | 
| 득점왕 | |
← 2010  | |
2011년 리그컵(공식 대회명칭: 러시앤캐시컵 2011)은 러시앤캐시로 유명한 대부업체 A&P파이낸셜과 손잡게 되면서 러시앤캐시컵 2011라는 이름으로 열게 되었다. 2011년 3월 14일, 서울 신문로 축구회관에서 가진 타이틀 스폰서 조인식을 가졌는데 A&P 파이낸셜은 이와 함께 올해 2011 K리그 오피셜 스폰서로도 참여해 2011 K리그의 A보드 광고권, 90도 시스템 광고권도 획득, K리그를 통한 활발한 스포츠 후원 활동을 펼칠 것으로 기대되었다. A&P 파이낸셜 관계자는 "K리그의 발전과 저변 확대가 곧 한국 축구의 발전으로 이어진다는 믿음에서 타이틀 스폰서 참여를 결정하게 됐다"며 "2011년 리그컵 타이틀 스폰서로 참여하게 돼 매우 기쁘다. 점차 빨라지는 현대 축구에 걸맞게 K리그 경기가 열리는 축구장 안팎에서 축구붐 조성과 브랜드 인지도 향상을 위해 지속적인 후원 활동을 전개해 나가겠다"고 밝혔다.[1]
그러나 정작 팬들의 반응은 기대와는 달리 예상 밖에 비판이 많았다. 분명 A&P 파이낸셜의 스폰서 참여로 K리그가 금전적으로 이익을 얻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이미지'라는 쉽게 얻을 수 없는 무형의 자산을 잃게 됐다는 평가가 대부분이었다.
한 K리그 팬은 트위터를 이용해 "스포츠채널이 사채광고 전용채널이 될 것이다"라며 우려를 표현했고, 다른 팬은 "대회명이 사채컵?"이라며 비웃는 모습을 보였다. 이외에도 대다수의 팬들도 "할 말이 없다", "스폰서 자격 제한도 있어야 하는 것 아니냐"라며 비슷한 모습을 보였다. A&P 파이낸셜이 K리그 팬들의 우려와 같이 부당한 이익을 얻는 사채업을 하는 것은 아니다. 정부가 허용하는 한도 내에서 대부업을 하고 있다. 그렇지만 현실적으로 많은 사람들이 사채업과 대부업은 같다고 생각하고 있기 때문에 A&P 파이낸셜의 K리그 타이틀 스폰서 참여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였다.[2]
지난해와 똑같이 대회방식은 조별리그 - 8강 - 4강 - 결승전 순서로 치러졌다. 3월 16일부터 5월 1일까지 조별리그가 진행되며, 6월 29일부터 7월 13일까지 토너먼트가 진행되었다.
대회 구성
[편집]예선 조별 리그
[편집]작년과 같은 AFC 챔피언스 리그에 출전하는 4팀을 제외하고 조별 예선을 치렀던 방식이며 약간 수정이 된 올해는 나머지 12개 구단 모두 조별예선에 참가하며 6개 팀씩 A, B조로 나뉘었다. 팀 당 5경기씩을 치르게 되며 각 조의 1, 2위팀과 AFC 챔피언스 리그에 출전하는 4팀이 합류하여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한다.
본선 토너먼트
[편집]지난해와 똑같은 방식으로 본선 토너먼트는 8강전부터 결승전까지 모두 단판 승부로 진행됐다.
러시앤캐시컵 2011의 참가팀
[편집]조별 예선 자동 통과팀
[편집]- FC 서울 - K리그 2010 우승
 - 제주 유나이티드 - K리그 2010 준우승
 - 전북 현대 모터스 - K리그 2010 3위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대한민국 FA컵 2010 우승
 
조별 예선 참가팀
[편집]조별 예선 자동 통과팀을 제외한 나머지 12개 팀은 K리그 2010 순위를 시드 순위로 해서 배치되었다.
  | 
 
  | ||||||||||||||||||||||||||||||||
예선 조별리그
[편집]A조
[편집]순위
[편집]| 순위 | 구단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 | 승점 | 
|---|---|---|---|---|---|---|---|---|---|
| 1 | 포항 스틸러스 | 5 | 4 | 0 | 1 | 11 | 3 | +8 | 12 | 
| 2 | 경남 FC | 5 | 3 | 1 | 1 | 7 | 2 | +5 | 10 | 
| 3 | 성남 일화 천마 | 5 | 2 | 2 | 1 | 4 | 3 | +1 | 8 | 
| 4 | 인천 유나이티드 | 5 | 1 | 2 | 2 | 5 | 6 | −1 | 5 | 
| 5 | 대구 FC | 5 | 1 | 2 | 2 | 2 | 5 | −3 | 5 | 
| 6 | 대전 시티즌 | 5 | 0 | 1 | 4 | 1 | 11 | −10 | 1 | 
경기 결과
[편집]1라운드
[편집]| 2011년 3월 16일 | 인천 유나이티드 | 3-0 | 대전 시티즌 | 인천문학경기장 | ||
| 19:00 KST (UTC+09) | 김명운  유병수 카파제  | 
관중 수: 4,256 | ||||
| 2011년 3월 16일 | 대구 FC | 0-2 | 경남 FC | 대구시민운동장 | ||
| 19:00 KST (UTC+09) | 김영우  루시오  | 
관중 수: 952 | ||||
| 2011년 3월 16일 | 포항 스틸러스 | 2-0 | 성남 일화 천마 | 포항스틸야드 | ||
| 19:30 KST (UTC+09) | 정석민  김태수  | 
관중 수: 7,211 | ||||
2라운드
[편집]| 2011년 4월 6일 | 인천 유나이티드 | 0-0 | 대구 FC | 인천문학경기장 | ||
| 19:00 KST (UTC+09) | 관중 수: 2,351 | |||||
| 2011년 4월 6일 | 대전 시티즌 | 0-3 | 포항 스틸러스 | 대전월드컵경기장 | ||
| 19:30 KST (UTC+09) | 슈바  노병준  | 
관중 수: 4,785 | ||||
| 2011년 4월 6일 | 성남 일화 천마 | 0-0 | 경남 FC | 탄천종합운동장 | ||
| 20:00 KST (UTC+09) | 관중 수: 1,411 | |||||
3라운드
[편집]| 2011년 4월 20일 | 포항 스틸러스 | 0-1 | 대구 FC | 포항스틸야드 | ||
| 19:30 KST (UTC+09) | 황일수  | 
관중 수: 7,817 | ||||
| 2011년 4월 20일 | 경남 FC | 1-0 | 인천 유나이티드 | 창원축구센터 | ||
| 20:00 KST (UTC+09) | 김인한  | 
관중 수: 1,321 | ||||
| 2011년 4월 20일 | 성남 일화 천마 | 1-0 | 대전 시티즌 | 탄천종합운동장 | ||
| 20:00 KST (UTC+09) | 조동건  | 
관중 수: 1,534 | ||||
4라운드
[편집]| 2011년 5월 5일 | 포항 스틸러스 | 4-1 | 인천 유나이티드 | 포항스틸야드 | ||
| 14:00 KST (UTC+09) | 고무열  조찬호 김기동  | 
루이지뉴  | 
관중 수: 16,671 | |||
| 2011년 5월 5일 | 경남 FC | 3-0 | 대전 시티즌 | 창원축구센터 | ||
| 15:00 KST (UTC+09) | 한경인  윤빛가람 루시오  | 
관중 수: 11,826 | ||||
| 2011년 5월 5일 | 대구 FC | 0-2 | 성남 일화 천마 | 대구시민운동장 | ||
| 15:00 KST (UTC+09) | 홍철  김덕일  | 
관중 수: 9,744 | ||||
5라운드
[편집]| 2011년 5월 11일 | 대전 시티즌 | 1-1 | 대구 FC | 대전월드컵경기장 | ||
| 19:30 KST (UTC+09) | 박민근  | 
황일수  | 
관중 수: 1,775 | |||
| 2011년 5월 11일 | 경남 FC | 1-2 | 포항 스틸러스 | 창원축구센터 | ||
| 20:00 KST (UTC+09) | 안현식  | 
김기동  모따  | 
관중 수: 961 | |||
| 2011년 5월 11일 | 성남 일화 천마 | 1-1 | 인천 유나이티드 | 탄천종합운동장 | ||
| 20:00 KST (UTC+09) | 홍진섭  | 
김재웅  | 
||||
B조
[편집]순위
[편집]| 순위 | 구단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
| 1 | 부산 아이파크 | 5 | 4 | 0 | 1 | 7 | 3 | +5 | 12 | 
| 2 | 울산 현대 | 5 | 4 | 0 | 1 | 8 | 5 | +3 | 12 | 
| 3 | 전남 드래곤즈 | 5 | 3 | 1 | 1 | 4 | 1 | +3 | 10 | 
| 4 | 강원 FC | 5 | 1 | 1 | 3 | 7 | 6 | +1 | 4 | 
| 5 | 상주 상무 피닉스 | 5 | 1 | 0 | 4 | 6 | 9 | −3 | 3 | 
| 6 | 광주 FC | 5 | 1 | 0 | 4 | 4 | 12 | −8 | 3 | 
경기 결과
[편집]1라운드
[편집]| 2011년 3월 16일 | 울산 현대 | 2-1 | 부산 아이파크 | 울산문수축구경기장 | ||
| 19:00 KST (UTC+09) | 김신욱  | 
강민수  | 
관중 수: 4,856 | |||
| 2011년 3월 16일 | 전남 드래곤즈 | 1-0 | 상주 상무 | 광양축구전용구장 | ||
| 19:00 KST (UTC+09) | 이현승  | 
관중 수: 1,143 | ||||
| 2011년 3월 16일 | 강원 FC | 5-0 | 광주 FC | 춘천송암레포츠타운 | ||
| 19:00 KST (UTC+09) | 서동현  권순형 김영후 이창훈  | 
관중 수: 2,320 | ||||
2라운드
[편집]| 2011년 4월 6일 | 강원 FC | 0-0 | 전남 드래곤즈 | 강릉종합운동장 | ||
| 19:00 KST (UTC+09) | 관중 수: 5,150 | |||||
| 2011년 4월 6일 | 울산 현대 | 2-1 | 상주 상무 | 울산문수축구경기장 | ||
| 19:00 KST (UTC+09) | 이진호  | 
김정우  | 
관중 수: 3,323 | |||
| 2011년 4월 6일 | 부산 아이파크 | 1-0 | 광주 FC | 부산아시아드주경기장 | ||
| 19:30 KST (UTC+09) | 한지호  | 
관중 수: 1,502 | ||||
3라운드
[편집]| 2011년 4월 20일 | 부산 아이파크 | 2-1 | 상주 상무 | 부산아시아드주경기장 | ||
| 19:00 KST (UTC+09) | 한지호  김한윤  | 
김치우  | 
관중 수: 1,038 | |||
| 2011년 4월 20일 | 광주 FC | 0-2 | 전남 드래곤즈 | 광주월드컵경기장 | ||
| 19:00 KST (UTC+09) | 코니  남준재  | 
관중 수: 847 | ||||
| 2011년 4월 20일 | 울산 현대 | 2-1 | 강원 FC | 울산문수축구경기장 | ||
| 19:00 KST (UTC+09) | 김신욱  설기현  | 
서동현  | 
관중 수: 983 | |||
4라운드
[편집]| 2011년 5월 4일 | 전남 드래곤즈 | 1-0 | 울산 현대 | 광양축구전용구장 | ||
| 19:00 KST (UTC+09) | 코니  | 
관중 수: 4,243 | ||||
| 2011년 5월 5일 | 강원 FC | 0-2 | 부산 아이파크 | 강릉종합운동장 | ||
| 15:00 KST (UTC+09) | 추성호  최진호  | 
관중 수: 13,724 | ||||
| 2011년 5월 5일 | 상주 상무 | 2-3 | 광주 FC | 상주시민운동장 | ||
| 15:00 KST (UTC+09) | 김동현  김정우  | 
김성민  유동민 김성민  | 
관중 수: 8,972 | |||
5라운드
[편집]| 2011년 5월 11일 | 광주 FC | 1-2 | 울산 현대 | 광주월드컵경기장 | ||
| 19:00 KST (UTC+09) | 유종현  | 
김신욱  | 
관중 수: 568 | |||
| 2011년 5월 11일 | 상주 상무 | 2-1 | 강원 FC | 상주시민운동장 | ||
| 19:00 KST (UTC+09) | 김동현  김정우  | 
하정헌  | 
관중 수: 5,445 | |||
| 2011년 5월 11일 | 부산 아이파크 | 1-0 | 전남 드래곤즈 | 부산아시아드주경기장 | ||
| 19:00 KST (UTC+09) | 이종원  | 
관중 수: 602 | ||||
본선 토너먼트
[편집]| 8강전 | 준결승전 | 결승전 | ||||||||
| 6월 29일 - 포항 | ||||||||||
| 포항 스틸러스 | 1 | |||||||||
| 7월 6일 - 부산 | ||||||||||
| 부산 아이파크 | 2 | |||||||||
| 부산 아이파크 | 2 | |||||||||
| 6월 29일 - 서귀포 | ||||||||||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1 | |||||||||
| 제주 유나이티드 | 0 (2) | |||||||||
| 7월 13일 - 울산 | ||||||||||
| 수원 삼성 블루윙즈 (PSO) | 0 (4) | |||||||||
| 울산 현대 | 3 | |||||||||
| 6월 29일 - 창원 | ||||||||||
| 부산 아이파크 | 2 | |||||||||
| 경남 FC | 1 | |||||||||
| 7월 6일 - 울산 | ||||||||||
| FC 서울 | 0 | |||||||||
| 울산 현대 | 4 | |||||||||
| 6월 29일 - 울산 | ||||||||||
| 경남 FC | 2 | |||||||||
| 울산 현대 | 4 | |||||||||
| 전북 현대 모터스 | 1 | |||||||||
8강전
[편집]준결승전
[편집]결승전
[편집]| 러시앤캐시컵  2011 우승  | 
|---|
| 울산 현대 5번째 우승  | 
득점 순위
[편집]| 순위 | 이름 | 클럽 | 득점 | 경기 | 경기당 득점 | 
|---|---|---|---|---|---|
| 1 | 울산 현대 | 11 | 8 | 1.38 | |
| 2 | 상주 상무 피닉스 | 3 | 5 | 0.60 | |
| 3 | 경남 FC | 2 | 3 | 0.67 | |
| 4 | 강원 FC | 2 | 3 | 0.67 | |
| 5 | 포항 스틸러스 | 2 | 3 | 0.67 | |
| 6 | 강원 FC | 2 | 3 | 0.67 | |
| 7 | 상주 상무 피닉스 | 2 | 4 | 0.50 | |
| 8 | 전남 드래곤즈 | 2 | 4 | 0.50 | |
| 9 | 대구 FC | 2 | 5 | 0.40 | |
| 10 | 부산 아이파크 | 2 | 5 | 0.40 | 
- 최종 업데이트 : 2011년 7월 14일 (출처: K리그 공식 홈페이지)
 
수상
[편집]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 
TV 중계
[편집]| 일정 | 방송사 | 캐스터 | 해설위원 | 결승 | 결과 | |
|---|---|---|---|---|---|---|
| 홈 | 원정 | |||||
| 7월 13일 | KBS 1TV | 서기철 | 이용수 | 울산 | 부산 | 3-2 |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허종호 (2011년 3월 14일). “'러시앤캐시' A&P 파이낸셜, 리그컵 타이틀 스폰서”. OSEN. 2011년 3월 14일에 확인함.[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허종호 (2011년 3월 14일). “K리그 팬들, 대부업체의 타이틀 스폰서 참여에 '우려'”. OSEN. 2011년 3월 14일에 확인함.[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