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11년
보이기
	
	
| 해 1908년 1909년 1910년 - 1911년 - 1912년 1913년 1914년  | 
| 연대 1890년대 1900년대 - 1910년대 - 1920년대 1930년대  | 
| 세기 18세기 19세기 - 20세기 - 21세기 22세기  | 
1911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다.
연호
[편집]기년
[편집]사건
[편집]- 1월 1일 - 조선총독부 경무총감부가 안명근의 체포를 시작으로 황해도 안악의 민족주의자를 검거하기 시작하였다. (안악 사건)
 - 2월 9일 - 일제가 우편규칙, 철도선박 우편규칙 등을 공포하였다.
 - 2월 17일 - 일본이 옛 대한제국 황가에게 일본 육군 무관 제복을 착용하게 했다.
 - 2월 21일 - 일본, 불평등조약 개정에 성공.
 - 3월 1일 - 일본에서 데이코쿠게키죠가 개관하였다.
 - 3월 12일 - 의병장 노병대가 다시 의병을 일으키다 체포되었다.
 - 3월 25일 - 트라이앵글 셔츠웨이스트 공장 화재 발생.
 - 4월 1일 - 경성부를 5부 8면으로 개편되었다.
 - 5월 15일 - 잡지 《소년》이 폐간되었다.
 - 6월 14일 - 영국, RMS 올림픽호가 취역을 하다.
 - 7월 1일 - 독일이 자국국민 보호를 구실로 모로코의 아가디르 항에 전함 '판터호'를 파견, 제2차 모로코 위기 발생되었다.
 - 7월 22일 - 양기탁, 안명근 등 안악 사건의 피의자 공판이 진행되었다.
 - 8월 21일 - 파리 루브르 박물관에 있던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명화 《모나리자》 도난사건 발생 (1913년에 회수됨)
 - 8월 23일 - 일본, 조선교육령 일본 각의 공포.
 - 8월 30일 - 경성복심원이 안악사건 공소심에 판결, 안명근은 무기징역, 김구 외 7명은 15년형을 선고하였다.
 - 9월 - 신민회 사건 발생, 일제는 데라우치 총독을 암살하려 했다는 명목으로 민족주의자들을 검거하기 시작하였다. (105인 사건)
 - 9월 9일 - 귀족단인 동족회가 결성되었다.
 - 9월 24일 - 경성부민회가 해산되었다.
 - 10월 5일 - 오스만 제국이 1911년 9월 29일에 전쟁을 선포한 후, 이탈리아가 리비아의 트리폴리와 키레나이카를 합병하다.
 - 10월 10일 - 중국에서 신해혁명이 일어나 이듬해인 1912년, 청나라가 막을 내린다.
 - 10월 20일
 - 10월 26일 - 〈조선인의 성명 개칭에 관한 건〉이 공포되었다.
 - 11월 5일 - 한국인 최초의 방직회사 경성방직이 창립되었다.
 - 11월 13일 - 만주 하얼빈에서 대한인국민회 만주지방총회가 설립되었다.
 - 11월 29일 - 공립보통학교와 실업학교 교직원에게 제복을 착용하게 했다.
 - 12월 19일 - 이상설, 이종호 등이 블라디보스토크 한인촌에서 권업회를 조직하였다.
 
문화
[편집]- 3월 29일 - 조선은행법이 공포되어 한국은행이 조선은행으로 개칭되었다.
 - 음력 4월 - 신흥무관학교가 설립되었다.
 - 4월 8일 - 조선에서 천주교 대구대목구가 설정되었다.
 - 6월 1일 - 흥인지문의 북쪽 성벽이 헐리고 도로가 개통되었다.
 - 10월 1일 - 경원선, 용산역 ~ 의정부역까지 구간 개통되었다.
 - 10월 27일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월드 시리즈 6차전에서 애슬레틱스가 뉴욕 자이언츠를 13대 2로 꺾고 시리즈 전적 4승 2패로 통산 2번째 우승을 달성하였다. 1910년 월드 시리즈에 이은 2연패이다.
 - 11월 1일 - 압록강 철교가 준공 및 개통되었다.
 
탄생
[편집]1월
[편집]- 1월 1일 - 미국의 야구 선수 행크 그린버그. (~1986년)
 - 1월 11일 - 일본의 정치인, 총리 대신 스즈키 젠코. (~2004년)
 - 1월 19일 - 일본의 야구 선수 가리타 히사노리. (~2001년)
 
2월
[편집]- 2월 6일 - 미국의 제40대 대통령 로널드 레이건. (~2004년)
 - 2월 18일 - 일본의 극우 운동가 고다마 요시오. (~1984년)
 - 2월 19일 - 대한민국의 승려 성철. (~1993년)
 
3월
[편집]- 3월 3일 - 미국의 배우 진 할로. (~1937년)
 - 3월 10일 - 대한민국 음악가 채선엽. (~1987년)
 - 3월 22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황호현. (~1992년)
 - 3월 25일 - 미국의 사업가, 범죄자 잭 루비. (~1967년)
 - 3월 26일 - 미국의 극작가 테네시 윌리엄스. (~1983년)
 
4월
[편집]- 4월 3일 - 중화인민공화국의 정치인 주덕해. (~1972년)
 - 4월 8일 - 미국의 화학자 멜빈 캘빈. (~1997년)
 - 4월 10일 - 프랑스의 정치가, 언론인 모리스 쉬망. (~1998년)
 - 4월 21일 - 대한민국의 교육자 전 영부인 공덕귀. (~1997년)
 - 4월 30일 - 독일의 작가 루이제 린저. (~2002년)
 
5월
[편집]- 5월 8일 - 미국의 싱어송라이터 로버트 존슨. (~1938년)
 - 5월 21일 - 대한민국의 목사 방지일. (~2014년)
 - 5월 24일 - 버마의 정치인, 독립운동가, 군인 네 윈. (~2002년)
 - 5월 25일 - 대한민국의 아동문학가 윤석중. (~2003년)
 - 5월 30일 - 미국의 초백세인 도로시 커스터. (~2015년)
 
6월
[편집]- 6월 14일 - 나치 독일의 게슈타포 및 SS 보안방첩부의 수장 라인하르트 하이드리히의 부인 리나 하이드리히. (~1985년)
 - 6월 16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박희현. (~1999년)
 - 6월 17일 - 대한민국의 교수, 목회자 신사훈. (~1998년)
 - 6월 18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서정원. (~1977년)
 - 6월 23일 - 영국, 미국의 광고인 데이비드 오길비. (~1999년)
 - 6월 29일 - 네덜란드의 베른하르트 왕자. (~2004년)
 - 6월 30일 - 폴란드의 시인, 소설가 체스와프 미워시. (~2004년)
 
7월
[편집]- 7월 5일 - 프랑스의 대통령 조르주 퐁피두. (~1974년)
 - 7월 9일 - 미국의 이론물리학자 존 아치볼드 휠러. (~2008년)
 - 7월 10일 - 미국의 트럼펫 연주자 쿠티 윌리엄스. (~1985년)
 - 7월 16일 - 미국의 배우, 가수 진저 로저스. (~1995년)
 
8월
[편집]- 8월 2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법조인 김선태. (~1978년)
 - 8월 5일 - 미국의 배우 로버트 테일러. (~1969년)
 - 8월 6일
 - 8월 7일 - 미국의 영화 감독 니컬러스 레이.
 - 8월 9일 - 미국의 천문학자 윌리엄 앨프리드 파울러. (~1995년)
 - 8월 10일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사회주의자 맹종호. (~?)
 - 8월 11일 - 태국의 정치인 타놈 끼띠카쫀. (~2004년)
 - 8월 18일 - 대한민국의 기업인 박인천. (~1984년)
 - 8월 25일 - 베트남의 군사 지도자 보응우옌잡. (~2013년)
 
9월
[편집]- 9월 1일
 - 9월 10일 - 프랑스의 배우 르네 시모노. (~2021년)
 - 9월 11일 - 나치 독일 SS장교 알프레드 나우요크스. (~1960년)
 - 9월 24일 - 구 소련의 정치인 콘스탄틴 체르넨코. (~1985년)
 
10월
[편집]- 10월 5일 - 대한민국의 외과 의사 장기려. (~1995년)
 - 10월 11일 - 대한민국의 경찰, 정치인 윤명운. (~1981년)
 - 10월 14일 - 북베트남의 정치인 레득토. (~1990년)
 - 10월 15일 - 미국의 정치인 존 S. 매키어넌. (~1997년)
 - 10월 16일 - 대한민국의 고고학자 김정학. (~2006년)
 - 10월 27일 - 미국의 가수, 음악가, 연극 배우, 영화배우 리프 에릭슨. (~1986년)
 
11월
[편집]- 11월 1일 - 중화인민공화국의 정치가, 슈퍼센티네리언 시핑 (~2024년)
 - 11월 7일 - 러시아의 과학자 미하일 얀겔. (~1971년)
 - 11월 12일 - 대한민국의 제헌 국회의원 이호석. (~?)
 - 11월 14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이경. (~1984년)
 - 11월 20일 - 미국의 높이뛰기 선수 진 실리. (~1998년)
 - 11월 21일 - 일본의 전 프로 야구 선수, 야구 지도자 미하라 오사무. (~1984년)
 - 11월 24일 - 대한민국의 무용가 최승희 . (~1969년)
 
12월
[편집]- 12월 1일 - 미국의 야구 선수 월터 올스턴. (~1984년)
 - 12월 5일 - 폴란드의 피아니스트 브와디스와프 슈필만. (~2000년)
 - 12월 9일 - 일본의 군인 세지마 류조. (~2007년)
 - 12월 18일 - 미국의 영화감독 줄스 다신. (~2008년)
 - 12월 23일 - 덴마크의 면역학자 닐스 카이 예르네. (~1994년)
 
미상
[편집]사망
[편집]

- 1월 17일 - 영국의 인류학자 프랜시스 골턴. (1822년~)
 - 1월 26일 - 대한제국의 주러공사 이범진. (1852년~)
 - 4월 17일 - 대한제국의 중추원 참의원 김지수. (미상~)
 - 5월 18일 - 오스트리아의 작곡가, 지휘자 구스타프 말러. (1860년~)
 - 7월 20일 - 대한제국의 황가 순헌황귀비. (1854년~)
 
노벨상
[편집]달력
[편집]음양력 대조 일람
[편집]| 음력월 | 월건 | 대소 | 음력 1일의 양력 월일  | 
음력 1일 간지  | 
|---|---|---|---|---|
| 1월 | 경인 | 대 | 1월 30일 | 경자 | 
| 2월 | 신묘 | 소 | 3월 1일 | 경오 | 
| 3월 | 임진 | 대 | 3월 30일 | 기해 | 
| 4월 | 계사 | 소 | 4월 29일 | 기사 | 
| 5월 | 갑오 | 소 | 5월 28일 | 무술 | 
| 6월 | 을미 | 대 | 6월 26일 | 정묘 | 
| 윤6월 | 소 | 7월 26일 | 정유 | |
| 7월 | 병신 | 소 | 8월 24일 | 병인 | 
| 8월 | 정유 | 대 | 9월 22일 | 을미 | 
| 9월 | 무술 | 대 | 10월 22일 | 을축 | 
| 10월 | 기해 | 소 | 11월 21일 | 을미 | 
| 11월 | 경자 | 대 | 12월 20일 | 갑자 | 
| 12월 | 신축 | 대 | 1912년 1월 19일 | 갑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