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리핀 남북도시철도
보이기
필리핀 남북도시철도(영어: North–South Commuter Railway)는 필리핀 루손섬에서 건설 중인 147km의 통근 철도이다. 타를락주 카파스의 뉴 클락 시티에서 라구나주 칼람바까지 36개의 역과 4개의 서비스를 제공하며, 마닐라 지역 내 연결성을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배경
[편집]필리핀은 철도를 포함한 대중교통 시스템이 부족하다. 퇴근 시간대 수도 마닐라 시내에서 10㎞ 떨어진 마닐라 국제공항까지 이동 시간은 약 2시간 정도이다. 필리핀 정부의 분석 결과, 2016년 마닐라와 그 주변의 도로 정체로 248억 달러의 경제 손실이 발생하였다.[1]
이에 필리핀 정부와 ADB는 철도 인프라를 확충한다는 계획에 따라 2026년 12월 완공, 2029년 개통을 목표로 필리핀 남북도시철도를 건설 중에 있다.[1] 열차는 시속 160km로 달리기 때문에 개통 시 통근 시간은 절반 정도 주는 효과가 기대되고 있다. 또한, 공사 중 신규 일자리 창출 효과가 약 25,000명, 공사 후에는 약 1,400명으로 추산된다.[2]
건설
[편집]아시아개발은행(ADB)이 이 프로젝트에 총 70억 달러의 자금을 조달하는 형태로 참여하였다.[1]
| 구간 | 범위 | 건설사 | 수여일 |
|---|---|---|---|
| 투투반-말롤로스 구간 (JICA 조달) | |||
| CP 01 | 발렌수엘라-보카우에 구간 건설 | 2019년 5월 | |
| TBA for Section 1 | |||
| CP 02 | 보카우에-말롤로스 구간 건설 | 2019년 1월 | |
| CP 03 | 투투반-말롤로스 철도 차량 | 2019년 7월 | |
| CP 04 | 전기 및 기계(E&M) 시스템 | 2022년 11월 | |
| CP 05 | 투투반-솔리스 구간 건설 | TBA | |
| Malolos-Clark 철도 토목 공사 (ADB 조달) | |||
| CP N-01 | Malolos-San Simon 구간 건설 | 2020년 9월 | |
| CP N-02 | 산토 토마스-산 페르난도, 팜팡가 구간 건설 | 2020년 10월 | |
| CP N-03 | 멕시코-클라크(마발라카트) 구간 건설 | ||
| CP N-04 | 클라크(마발라카트)-클라크 국제공항 구간 건설 | 2020년 8월 | |
| CP N-05 | 마발라카트에 33-깜타르(82ac) 창고 및 주요 운영 통제 센터 건설 | ||
| CP S-01 | Solis-Blumentritt 구간(Blumentritt 연장) 건설 | 2023년 2월 | |
| 남부 철도 토목 공사 (ADB 조달) | |||
| CP S-02 | Blumentritt-Paco 구간 건설 | 2023년 2월 | |
| CP S-03a | Paco-Senate 구간 건설 | 2023년 6월 | |
| CP S-03b | 상원-FTI 구간 건설 및 메트로 마닐라 지하철 상원역 터널 공사 | 2023년 2월 | |
| CP S-03c | FTI-Sucat 구간 건설 | 2023년 6월 | |
| CP S-04 | 수캇-산페드로 구간 건설 | 2022년 9월 | |
| CP S-05 | San Pedro-Cabuyao 구간 건설 | 2022년 9월 | |
| CP S-06 | Cabuyao–Calamba 구간 건설 | 2022년 9월 | |
| CP S-07 | Banlic 창고 건설 | 2022년 9월 | |
| 기타 연관 계약 (JICA 조달) | |||
| CP NS-01 | Malolos-Clark 및 Manila-Calamba 철도 전기 및 기계(E&M) 시스템 | 2023년 2월 | |
| CP NS-02 | Malolos-Clark 및 South Commuter 철도 차량 | 2022년 1월 | |
| CP NS-03 | 특급열차 | 2023년 10월 | |
각주
[편집]- ↑ 가 나 다 박원희 기자 (2023년 4월 23일). “"필리핀에서 가장 긴 철도"…ADB 인프라 프로젝트 남북철도”. 《연합뉴스》.
- ↑ 조은임 기자 (2024년 2월 19일). “‘기회의 땅’ 동남아서 영토 넓히는 K건설…저개발국은 中이 주도”. 《조선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