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출림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출림어
Çulım
원어 지역러시아
지역크라스노야르스크 지방, 톰스크 주
민족출림인
원어 화자
30명 (2024년)[1]
튀르크어족
키릴 문자
언어 코드
ISO 639-3clw
글로톨로그chul1246  Lower Chulym
mele1253  Melet
tuta1234  Tutal
ELPChulym

출림어(Chulym, 러시아어: Чулымский язык)는 역사적으로 출림인들이 사용하던 사멸 직전의 튀르크어족 언어이다. 현재 출림인의 민족 인구는 300여 명이나 그 중 출림어의 화자는 30명을 채 넘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다.[2] 자기 명칭은 "외스어"(Ось тили, Ös tili)나 "타타르어"(тадар тили, tadar tili)이다.[3]

오비강의 지류인 출림강을 따라 있는 여러 지역에서 사용되었다.[4] 이 지역은 시베리아 남서부이자 알타이 산맥 북쪽에 있다.

분류

[편집]

Nogorodov et al.(2015)는 어휘 비교를 근거로 출림어가 킵차크어파에 가깝다고 주장하였다.[5] 그러나 출림어는 시베리아 튀르크어쇼르어하카스어와도 가까운 관계인데, 방언에 따라 하류 출림어는 타타르어의 영향이 강하고 중류 출림어는 하카스어의 영향이 더 강하다. 또한 상당한 예니세이어의 영향도 보이는데, 중류 출림어 화자 집단 자체가 예니세이어, 오비우그리아어, 사모예드어를 사용하던 집단이 동화되어 튀르크어를 말하게 되며 형성된 집단이기 때문이다.[6]

각주

[편집]
  1. “Чулымско-тюркский язык | Малые языки России”. 《minlang.iling-ran.ru》. 2024년 11월 23일에 확인함. 
  2. Кондияков, А.Ф.; Лемская, В.М. 《Чулымский язык д. Пасечное Тюхтетского района Красноярского края: Словарь, формы слов и грамматические примеры》 (PDF). ISBN 978-5-7511-2627-8. 
  3. K.D. Harrison; G. D. S. Anderson (2006). “Ös tili (Middle and Upper Chulym Dialects): Towards a comprehensive documentation”. 《Turkic Languages》 10 (1): 47–71. 
  4. K.D. Harrison; G. D. S. Anderson (2003). “Middle Chulym: Theoretical aspects, recent fieldwork and current state”. 《Turkic Languages》 7 (2): 245–256. 
  5. Novgorodov, Innokentiy; Lemskaya, Valeriya; Gainutdinova, Albina; Ishkildina, Linara (2015). “The Chulym Turkic language is of the Kipchak Turkic language origin according to the Leipzig-Jakarta list” (영어). 《Türkbilig》 29: 1–18. 
  6. “Middle Chulym: Theoretical aspects, recent fieldwork and current state” (PDF). 2022년 9월 21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25년 3월 20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