욕설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2025년 9월) |

욕설(辱說) 또는 욕(辱)은 사회에서 상대에 대한 모욕의 의미로 주로 사용되는 말들이다. 자신의 생각이나 감정을 격하게 표현할 때에도 사용한다. 넓게는 손가락 욕 등 행동을 통한 모욕도 포함된다.
정의
욕설은 공격적 또는 부정적인 감정을 보여주거나, 고통을 덜고자 하거나, 강한 감정을 표현하거나, 문법적 강조나 비공식적이고 대화적인 친밀감을 표현하는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원칙적으로 비도덕적인 표현이다. 공식적이거나 예의를 차려야 하는 사회적 상황에서는 매우 무례한 것으로 간주되며(사회적 규범 위반), 어떤 종교에서는 죄로 여겨지기도 한다.[1] 욕설에는 비방이 포함되나, 모든 욕설이 상대방에 대한 비방만을 목적으로 하는 말은 아니다.
용어
욕설은 영어로 격식 있게는 profanity라고 하는데, 여기서 profane은 고전 라틴어 profanus에서 유래한 말로 원래 '성소 바깥'을 의미하며,[2] 이것이 중세 영어에서 신성 모독이라는 의미로 발전했다.[3] 영어에서 swearing을 맹세라는 의미 외에도 욕설 전반을 나타내는 말로 쓰인다.[4] 욕설과 맹세에 대해 동일한 용어를 사용하는 다른 언어로는 프랑스어 (jurer), 캐나다 프랑스어 (sacer), 스웨덴어 (svära) 정도가 있다.[5] 본래 blasphemy(신성모독)과 obscenity(음란죄)라는 표현이 비슷한 의미로 쓰였지만 이 단어들은 구체적 의미를 유지했다.[3] expletive는 욕설 사용을 나타내는 또 다른 영어 용어로, 원래 의미를 바꾸지 않고 문장의 길이를 변경하기 위해 단어를 추가한다는 의미에서 파생되었다.[6]
영어에서 cursing은 본래 누군가를 저주하는 말을 구체적으로 지칭했으며[7] 미국 영어에서는 여전히 일반적으로 다른 사람에게 해가 있으라고 하는 말을 가리킨다.[8] cursing과 동일한 단어는 덴마크어 (bande), 이탈리아어 (imprecare), 노르웨이어 (banne)에서도 비슷하게 사용된다.[9] swearing과 cursing이라는 용어는 분노에 대한 욕설 사용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10] 다양한 유형의 욕설을 분류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있었지만 널리 받아들여지는 유형은 없으며 용어는 서로 바꾸어 사용된다.[11]
일부 언어에는 욕설에 대한 일반적인 용어가 없고 대신 "나쁜 언어 사용"이라는 우회적 문구로 설명한다. 그 예시로는 중국어(zang hua), 포르투갈어(palavrão), 스페인어(decir palabrotas), 터키어(küfur etmek)가 있다.[9]
한국의 욕설
욕설은 상대방을 모욕하거나 비난하기 위하여, 또는 혼자 열을 받았을 때 등에 주로 사용한다. 장난칠 때나 말버릇으로 쓰는 사람들도 있다.[12] 욕설은 대응하는 일반적인 표현이 없고, 단어나 구일 뿐만 아니라 절 형식인 것도 존재한다는 점에서 속어나 비어와 다르다.[13] 어떤 표현이든 모욕이나 비난의 의도로 사용되었다면 그 맥락에서는 욕설이다.[14] 한편, 사전에 등재되는 욕설은 실제로 사용되는 욕설의 수보다 그리 많지 않다.[15]
'새끼'는 본래 짐승이 낳은 어린 짐승을 가리키며 인간에게는 '자식'이라는 대응 표현이 있는데, 이것을 사람에게 쓰면 욕설의 하나가 된다. 이를 해석하자면 '너는 인간도 아닌 짐승의 자손이야.' 같은 뜻이 된다.[출처 필요] 마찬가지로 '대가리', '아가리' 등 짐승에게만 쓰는 표현을 사람에게 써서 모욕하는 표현들이 있다. 여기서 나아간 '개새끼', '개자식', '씹새끼' 혹은 '씹자식'이라는 말은 한국어의 대표적 모욕 중 하나이다.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어떤 사람을 좋지 않게 여겨 욕하여 이르는 말"로 정의하고 있다.[16] 본래는 그 욕의 뜻이 아닌, 친구나 자손에게 귀여움과 반가움을 나타내고 사랑을 전하는 뜻으로 쓰였다.[17] ('개새끼', '개자식', '씹새끼' 혹은 '씹자식'은) 영어로는 'Son of a bitch'와 같은 단어 형성으로, 여기서 'bitch'는 '암캐' 및 '창녀'를 의미한다.[18]
장애나 질병으로 모욕하는 욕설과 같은 단어로는 '병신'(장애인), '미친'(정신질환), '지랄'(간질, 즉 뇌전증), '염병'(장티푸스) 등이 있다. 이외에 상황에 따라 사용되는 욕설과 같은 단어로 분류되는 대표적 단어로는 '닥치다'(Shut the hell up), '꺼지다'(Get the hell out) 혹은 '젠장'(Damn 혹은 Hell) 등도 있다.
대표적인 욕설인 '씨발'은 한국어에서 가장 공격적인 욕설과 같은 단어 중 하나이다. 본래 '성관계'를 뜻하는 고유어 '씹'에 '-할'이 붙어 씹할놈이라고 말하던 것이 어원으로, 영어의 'Fuck'과 비슷한 형성이다. 이외에 성적인 어원의 욕설로 '좆 나오게'에서 유래한 '존나' 등이 있다.
검열
많은 국가에서는 라디오나 텔레비전 등 방송에서 프로그램을 미리 녹취하거나 송출 지연 장치를 사용하여 방영 전에 욕설을 검열 및 삭제한다.
같이 보기
참고 문헌
- 이선영 (2015). “비속어와 욕설의 개념에 대하여”. 《어문론집》 (중앙어문학회) 64: 59-80. doi:10.15565/jll.2015.12.64.59. ISSN 1229-6406. 2020년 11월 22일에 확인함. (구독 필요).
- 조항범 (2019). 《우리말 ‘卑語’, ‘俗語’, ‘辱說’의 어원 연구》. 충북: 충북대학교 출판부. ISBN 9788972954880.
각주
- ↑ “The Teaching of the Twelve Apostles to the Nations, known as The Didache” (PDF) (영어). Legacy Icons. 2016. 6쪽. 2022년 2월 16일에 확인함.
But the way of death is this. First of all, it is evil and full of curses: murder, adultery, lust, promiscuity, theft, idolatry, magical arts, witchcraft, robbery, false testimony, hypocrisy, duplicity, treachery, pride, malice, stubbornness, greed, foul language, jealousy, arrogance, pride, and boasting.
- ↑ Oxford English Dictionary Online, "profane", retrieved 14 February 2012
- ↑ 가 나 Hughes 2015, 362쪽.
- ↑ Ljung 2011, 1쪽.
- ↑ Ljung 2011, 1–2쪽.
- ↑ Hughes 2015, 154쪽.
- ↑ Hughes 2015, 114–115쪽.
- ↑ Ljung 2011, 31쪽.
- ↑ 가 나 Ljung 2011, 2쪽.
- ↑ Matusz 2017, 36쪽.
- ↑ Ljung 2011, 24–25쪽.
- ↑ 조항범 2019, 371쪽.
- ↑ 이선영 2015, 73쪽.
- ↑ 이선영 2015, 74쪽.
- ↑ 조항범 2019, 4쪽.
- ↑ “개새끼::네이버 국어사전”. 2017년 10월 25일에 확인함.
- ↑ “말과 글 어원을 찾아서 - 문둥이새끼”. Nohoo. 2011년 7월 1일. 2013년 10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0월 25일에 확인함.
- ↑ '야 이 개XX야' 오명 벗은 강아지?…욕의 어원 논란2015년 11월 6일 sbs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