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정리 화강암
| 온정리 화강암 층서 범위: 중생대 백악기 | |
|---|---|
바위위펜션(도로명주소: 영덕군 병곡면 지경1길 34) 아래 온정리 화강암 | |
| 유형 | 한국의 화강암 |
| 상위 단위 | 불국사 화강암 |
| 하층 | 선미리층, 평해층군 (관입함) |
| 상층 | 경상 누층군 울련산층, 동화치층, 가송동층 |
| 지역 | 경상북도 울진군 온정면, 영덕군 병곡면 |
| 암질 | |
| 주 | 화강암 |
| 위치 | |
| 이름 유래 | 울진군 온정면 온정리 |
| 좌표 | 북위 36° 38′ 33.5″ 동경 129° 25′ 21.5″ / 북위 36.642639° 동경 129.422639° |
| 지방 | 경상 분지 |
| 나라 | |
| 범위 | 육상 약 65 km2 |
경상 분지 북동부의 지질과 온정리 화강암 | |
온정리 화강암(溫井里 花崗巖, Onjeongri Granite)은 대한민국 울진군 온정면 외선미리와 선구리 일부 지역, 온정면 동남부와 후포면 서부 일대에 분포하는 한국의 화강암이다.
암상
[편집]평해 지질도폭(1963)에 의하면 주로 각섬석 흑운모 화강암으로 구성되며 선미리층과 평해층군을 관입하고 경상 누층군에 의해 부정합으로 덮이는 선백악기 화강암이다. 화강암 내 우라늄 함량은 0.7~4.4 ppm, 토륨 함량은 4.9~15.6 ppm이다.[1]
지질시대
[편집]신성천과 니시무라 스즈무(1993)는 온정리 화강암에서 85.5~44.3 Ma의 저어콘, 스핀, 인회석 피션트랙 연대와 87.1±2.1 Ma의 각섬석 K-Ar 연대를 보고하였다.[2] 정창식 외(1998)는 온정리 화강암의 연령을 경상 누층군이 혼펠스화된 야외지질학적인 특징과 칼륨-아르곤 연대 측정 자료로 볼 때 중생대 백악기 말(87 Ma 내외)로 판단하였다.[1]
광산과 지하자원
[편집]유금 금광상
[편집]유금광상은 영덕군 병곡면 금곡리 백악기 온정리 화강암 내에 배태된 열수 금광상으로 영해 화강섬록암 내에 발달한 북서 19~38° 주향의 단층대를 따라 관입한 함금 열수 석영맥으로 구성된다. 석영맥의 폭은 수 cm~2 m이며 지표 연장은 400 m이다. 금은 호박금의 형태로 산출되며 방연석 등 다른 황화물들과 수반된다. 품위는 금 0.05~251.6 g/t, 은 0.05~1445 g/t이다.[3]
영덕군 병곡면 금곡2리~울진군 후포면 금음4리 해안에는 온정리 화강암이 드러나 있다. 특히 바위위펜션(도로명주소: 영덕군 병곡면 지경1길 34)은 이름 그대로 화강암 바위 위에 있는데 이곳의 화강암에는 포유암(enclave)이 관찰된다.
- 영덕군의 온정리 화강암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가 나 정창식; 권성택; 김정민; 장병욱 (1998년). “경상분지 북부에 분포하는 온정리 화강암에 대한 암석화학적, 동위원소 지구화학적 연구: 경상분지 다른 지역과 서남 일본 내대에 분포하는 백악기-제 3기 화강암류와의 비교 고찰 (Geochemical and Isotopic Study of the Onjeongri Granite in the Northern Gyeongsang Basin, Korea : Comparison with Cretaceous to Tertiary Granitic Rocks in the Other Part of the Gyeongsang Basin and the Inner Zone of Southwest Japan)”. 《한국암석학회》 7 (2): 77-97.
- ↑ Shin, Seong Cheon; Nishimura, Susumu (1993년 12월). “Thermal and uplift histories of Mesozoic granites in Southeast Korea : new fission track evidences (한국 동남부 중생대 화강암의 지열사와 지체융기사 : 새로운 피션트랙 열연대학적 증거)”. 《한국암석학회》 2 (2): 104-121.
- ↑ 김상우; 이인성; 신동복 (2010년 3월). “Fluid Inclusion and Stable Isotope Geochemistry of the Yugeum Hydrothermal Gold Deposit in Youngduk, Korea (영덕 유금 열수 금광상에 대한 유체포유물과 안정동위원소 연구)”. 《한국광물학회》 23 (1): 1-13. ISSN 2288-71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