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엠폴리 FC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엠폴리 FC
전체 명칭Empoli Football Club S.p.A.
별칭Azzurri Empolesi (엠폴리 아주리)
국가이탈리아의 기 이탈리아
도시엠폴리
대륙UEFA
협회FIGC
리그세리에 B
경기장스타디오 카를로 카스텔라니
수용 인원16,800
창단1920년
소유주파브리치오 코르시
감독귀도 팔류카
2024-25세리에 A
18위 (강등)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원정
서드

엠폴리 풋볼 클래브(이탈리아어: Empoli Football Club S.p.A.)[1]토스카나주 엠폴리에 위치한 스타디오 카를로 카스텔라니 경기장을 근거로 하는 이탈리아축구 클럽이고 1920년에 창단 되었으며 1921년에 첫 경기를 치렀다.

팀은 최근 10년간을 세리에 A세리에 B 사이를 왔다 갔다를 하며 대부분의 시간을 보냈다. 가장 최근에는 엠폴리가 2004년에 강등 되었지만 다음 시즌에 세리에 A로의 승격권을 확보 했으며 세리에 B에서 1위를 하고 승격 후에 리그에서 7위를 기록하여 클럽 역사상 첫 유럽 대항전 출전권을 획득했다. 엠폴리는 2013-14 시즌에 리보르노에게 승격 플레이오프 결승전에서 패배한 이후 팔레르모에 뒤를 이어 준우승을 차지하며 2014-15 시즌 세리에 A 승격권을 확보했다.

역사

[편집]

엠폴리의 역사는 그들이 1980년대에 세리에 B로 올라오기전에는 상대적으로 덜 알려져 있었다. 1986년에 이 소도시의 클럽은 세리에 A 승격이라는 놀라운 성과물을 내었다. 피렌체에서 첫 홈경기를 치르는 엠폴리는 인테르나치오날레와의 세리에 A 데뷔전을 1-0 승리로 마무리 지었다. 우디네세가 승점 9점을 감점당한 덕분에 그들은 30경기에서 승점 23점과 13득점에 불가했지만 강등을 피했다. 엠폴리는 다음 시즌에 승점 5점이 삭감된 상태로 시작했고 좋은 모습을 보였음에도 강등되고 말았지만 그들은 1989년에 세리에 C1으로 다시 한번 강등 되었다.

그들은 1996년에 세리에 B로 복귀하기 이전에 세리에 C1에서 일부 시즌을 보냈고 1997년에 2번째 연이은 승격을 해냈다. 루차노 스팔레티 감독하에서 엠폴리는 12위로 마감하며 강등을 피했다. 다음 해에 세리에 B로 강등되어 3년간을 있었고 이 기간에 젊은 뛰어난 재능의 선수들을 육성을 해내는 걸로 유명했다.

2002년에 세리에 A로 승격했고 2005년에 강등을 상대로 치열한 싸움을 벌였다. 그들은 세리에 A 2005-06 시즌을 뛰어난 1부 리그 10위로 마감했다. 시즌 종료 후에 2006년 이탈리아 축구 스캔들의 결과로 그들은 다음 시즌 UEFA 컵 출전권을 획득 했지만 예상치 못하게 클럽 경영진들이 UEFA가 요구한 조건들을 충족하지 못하면서 출전하지 못했는데 세리에 A 2006-07 시즌에 그들은 다시 한번 UEFA 출전권을 얻었다.

유럽 클럽 대항전 데뷔와 강등

[편집]

유럽 클럽 대항전 출전이 현실로 다가오자 경영진들은 인테르나치오날레힝콩, 밀란이냐치오 아바테와 리노 마르초라티, 유벤투스세바스티안 조빈코, 클라우디오 마르키시오, 레이 볼파토 같은 세리에 A의 빅클럽들의 유망주 몇 명을 공동 소유 계약으로 데려와 선수단을 강화시켰다. 엠폴리는 그들의 UEFA 데뷔 FC 취리히와의 1,2차 전에서 합계 4-2로 패하며 탈락했다. 그리고 해당 시즌 초기에 부진한 모습을 보이자 파브리치오 코르시 회장은 UEFA 출전권을 가져다준 루이지 카니를 경질 시키고 알베르토 말레사니로 대체시켰다.[2] 하지만, 클럽의 불운은 끝나지 않았고 말레사니도 삼프도리아에 0-2로 패하여 리그 최하위권으로 떨어지고 경질 당했다. 2008년 3월 31일에 카니가 다시 선임됐지만 결국 팀은 강등의 아픔을 겪고 말았다. 카니는 사임을 했고 2008-2009 시즌을 대비해 실비오 발디니로 대체되었다. 발디니의 재임 기간도 리그를 5위로 마치고 승격 플레이오프에서도 브레시아에 탈락하면서 썩 성공적이지는 못했다.

세리에 B

[편집]

선수 명단

[편집]

현역

[편집]

2025년 9월 17일 기준

참고: FIFA 자격 규정에 따라 소속된 국가대표팀 국기를 표시합니다. 선수는 복수의 FIFA 비회원국 국적을 가지고 있을 수 있습니다.

번호 포지션 국적 이름
1 GK 사무엘레 페리산
2 DF 조지아 사바 고글리치제
3 DF 주세페 페첼라
5 MF 알베르토 그라시
6 MF 스코틀랜드 리암 헨더슨
7 DF 주니오르 삼비아 (살레르니타나에서 임대)
8 MF 잉글랜드 티노 안조린
9 FW 피에트로 펠레그리 (토리노에서 임대)
10 MF 자코포 파치니
11 FW 가나 엠마누엘 기야시
12 GK 자코포 세게티
13 DF 뉴질랜드 리베라토 카카체
15 DF 조지아 사바 사조노프 (토리노에서 임대)
16 MF 루카 벨라르디넬리
번호 포지션 국적 이름
17 FW 올라 솔바켄 (로마에서 임대)
19 FW 엠마누엘 에콩
21 DF 마티아 비티 (니스에서 임대)
22 DF 마티아 데 실리오 (유벤투스에서 임대)
23 GK 콜롬비아 데비스 바스케스 (AC 밀란에서 임대)
24 DF 나이지리아 타이론 에부에히
27 MF 시몬 주르코프스키 (스페치아에서 임대)
29 FW 로렌초 콜롬보 (AC 밀란에서 임대)
32 MF 니콜라스 하스
34 DF 알바니아 아르디안 이스마일리
35 DF 루카 마리아누치
93 MF 모로코 유세프 말레 (레체에서 임대)
98 GK 페데리코 브란콜리니
99 FW 세바스티아노 에스포시토 (인테르나치오날레에서 임대)

역대

[편집]

역대 감독

[편집]
감독 임기
이탈리아 세르조 체르바토 1968~1970
이탈리아 렌초 울리비에리 1974~1976
이탈리아 브루노 조르지 1976~1977
이탈리아 루이지 시모니 1988~1989
이탈리아 프란체스코 구이돌린 1991~1992
이탈리아 루차노 스팔레티(대행) 1994
이탈리아 루차노 스팔레티 1995~1998
이탈리아 루이지 델네리 1998
이탈리아 실비오 발디니 1999~2003
이탈리아 알베르토 말레사니 2007~2008
이탈리아 실비오 발디니 2008~2009
이탈리아 알프레도 알리에티 2010~2011
이탈리아 알프레도 알리에티 2012
이탈리아 마우리치오 사리 2012~2015
스위스 마르코 지암파올로 2015~2016
이탈리아 조반니 마르투시엘로 2016~2017
이탈리아 아우렐리오 안드레아촐리 2017~2018
이탈리아 주세페 이아키니 2018~2019
이탈리아 아우렐리오 안드레아촐리 2019
이탈리아 크리스티안 부키 2019
이탈리아 파스콸레 마리노 2020
이탈리아 알레시오 디오니시 2020~2021
이탈리아 아우렐리오 안드레아촐리 2021~2022
이탈리아 파올로 자네티 2022~2023
이탈리아 아우렐리오 안드레아촐리 2023~2024
이탈리아 다비데 니콜라 2024
독일 로베르토 다베르사 2024~2025
이탈리아 귀도 팔류카 2025~

우승

[편집]
우승 (3): 2004–05, 2017–18, 2020–21
우승: 1995–96
우승: 1982–83


각주

[편집]
  1.  · Canepari, Luciano. 《Football》 (이탈리아어). DiPI Online - Dizionario di Pronuncia Italiana. ISBN 9788808105110. 2021년 8월 3일에 확인함. 
     · Canepari, Luciano. 《Club》 (이탈리아어). DiPI Online - Dizionario di Pronuncia Italiana. ISBN 9788808105110. 2021년 8월 3일에 확인함. 
  2. “Empoli axe Cagni”. Football Italia. 2007년 11월 26일. 2007년 11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11월 27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