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우타
| 세우타 스페인어: Ceuta, 모로코 아랍어: سَبْتَة | |||||
|---|---|---|---|---|---|
| 자치시 | |||||
세우타 전경 | |||||
| |||||
![]() | |||||
| 행정 | |||||
| 국가 | 스페인 | ||||
| 지리 | |||||
| 면적 | 18.5 km2 | ||||
| 해발 | 10 m | ||||
| 시간대 | UTC+01:00 (섬머타임:UTC+02:00) | ||||
| 인문 | |||||
| 인구 | 83,179명(2024년[1]년) | ||||
| 지역 부호 | |||||
| 우편번호 | 51001–51005 | ||||
| 웹사이트 | https://www.ceuta.es/ | ||||
세우타(UK: /ˈsjuːtə/, US: /ˈseɪuːtə/,[2][3] 스페인어: [ˈθewta, ˈsewta] (
); 모로코 아랍어: سَبْتَة 사브타)는 지브롤터 해협의 북아프리카 해안에 있는 스페인 자치시이다. 모로코와 맞닿아 있고 지중해와 대서양의 경계에 있다.
페니키아인들이 알미나반도에 거주지를 만든 것이 도시의 기원으로 알려져 있다. 이후 고대 로마와 비잔틴 제국의 지배를 받았다. 라시둔 칼리파국과 우마이야 칼리파국이 추진한 이슬람의 마그레브 정복 과정에서 이슬람 세계에 편입되었으나 740년에서 743년 사이 있었던 베르베르인 봉기 와중에 파괴되었다가 9세기 무렵 모로코의 고마라인들에 의해 재건되었다. 이후 세우타는 이슬람 세계의 일원이었다가 13세기 이후 지브롤터 해협의 패권을 놓고 진행된 해협 전쟁의 전략적 요충지가 되었다. 1415년 포르투갈의 주앙 1세가 세우타를 점령하였고, 1580년 스페인의 영토가 되었다. 세우타는 안달루시아 지방의 카디스도에 속한 무니시피오였다가 1995년 자치시로 승격하였다.[4]
스페인은 유럽 연합에 합류하기 이전까지 세우타를 카나리아 제도의 멜리야와 함께 경제자유구역으로 운영하였다.[5] 인구 중 다수는 로마 가톨릭 기독교인과 무슬림이고 소수 민족으로 세파르딤 유대인과 파키스탄에서 온 신드계 인도인도 살고 있다.[6]
역사
[편집]고대
[편집]
세우타는 지중해와 대서양 사이에 놓인 지브롤터 해협의 병목으로 오랜 시간 동안 전략적 요충지이자 상업 거점이었다. 페니키아는 지중해 전역에 거점을 마련하면서 기원전 7세기 무렵 세우타가 있는 알미나반도에도 거주지를 마련하였다.[7] 그리스의 지리학자들은 이 곳과 인접한 자벨 무사 산 부근을 아비이야라고 불렀고 오늘날 지브롤터 바위로 불리는 "헤라클레스의 기둥" 옆에 있다고 묘사하였다. 세우타와 인접한 모로코의 탕헤르와 스페인의 카디스에도 당시 페니키아의 거점이 있었다.
기원전 146년 카르타고 함락으로 고대 카르타고가 멸망한 뒤 북아프리카 서부 연안의 대부분은 누미디아와 같은 로마 공화국의 종속국이 되었고 이 지역은 마우레타니아로 불리게 되었다. 카르타고 멸망 이후에도 이 지역은 로마인들에게 "셉템"(라틴어: septem, 7)이라 불리며 포에니인 문화가 여전히 번창하였다. 기원전 46년 카이사르의 내전 가운데 하나였던 탑수스 전투에서 승리한 뒤 율리우스 카이사르와 그의 계승자 아우구스투스는 북아프리카 연안을 로마가 직접 지배하는 속주로 재편하였지만 현지 베르베르인 들은 여전히 포에니어로 말하고 기록하였다.
기원전 42년 클라우디우스가 마우레타니아 정복을 시작하였다. 기원전 40년 칼리굴라가 마우레타니아의 왕 프톨레마이오스를 포위 끝에 죽였고, 오늘날의 탕헤르와 세우타를 포함하는 이 지역은 로마의 속주인 마우레타니아 팅기타나가 되었다. 로마가 직접 지배하면서 이 지역은 로마화 되었고 이웃한 히스파니아와 어염을 거래하였다. 로마의 도로가 세우타와 탕헤르, 볼루빌리스를 연결하였고 4세기 후반 테오도시우스 1세 치하의 "셉템"은 인구 1만에 달하는 도시였다. 당시 셉템 사람들은 대부분 기독교인이었고 현지화된 라틴어인 아프리카 로망스어를 사용하였다.[8]
중세
[편집]
기원후 425년 보니파티우스가 아프리카 속주의 지배를 놓고 갈라 플라키디아와 맞서며 탕헤르에 반달족을 불러들였다고 알려져 있다. 반달족의 왕 게이세리쿠스는 로마의 방조 아래 카르타고를 비롯한 북아프리카를 점령하여 반달 왕국을 세웠다. 그러나 곧바로 일어난 반란으로 반달족은 탕헤르와 셉템을 상실하였다. 유스티니아누스 1세가 반달 전쟁을 벌이고 영토 회복에 나선 가운데 533년 벨리사리우스가 셉템을 점령하여 동로마 제국의 가장 서쪽 영토가 되었다. 그러나 당시 동로마 제국은 셉템보다 탕헤르를 전략적 요충지로 보았다.
541년에서 542년 사이 지중해 전역에 번진 유스티니아누스 페스트로 무역로가 붕괴되면서 셉템 고립되었다. 본국과의 단절이 오래 계속되자 7세기 초 지역의 실권자였던 코메스는 이베리아 반도의 서고트 왕국에 충성을 맹세하게 된다. 그러나 얼마 지나지 않아 이슬람의 마그레브 정복이 시작되었고 연이어 우마이야 왕조의 히스파니아 정복이 진행되었다. 일부 연대기는 당시 세우타의 코메스였던 율리아누스가 싸우지도 않고 이슬람에 투항하였다고 기록하지만 사실 여부는 불확실하다. 우마이야 칼리파국은 북아프리카 해안 전역과 이베리아 반도까지 영토를 확장하였고 세우타 역시 이슬람화 되기 시작하였다.
율리아누스 이후 탕헤르와 세우타는 이슬람으로 개종한 고마라인이 지배하면서 로마식 이름 셉템은 모로코식 이름 "세브타"가 되었다. 740년 현지의 베르베르인들이 이들의 지배에 반대하며 베르베르인 봉기를 일으켰고 743년까지 진압 과정에서 세우타는 파괴되었다. 그 뒤로 세우타는 무슬림과 기독교인이 공존하는 한적한 어촌이 되었다. 8세기 무렵 짧게 존재하였던 바누 왕조가 세우타를 거점으로 삼으면서 다시 도시화가 시작되었지만[9] 바누 왕조는 이드리스 아미르국에 병합되었다.[10] 한편 929년 스스로 칼리프임을 내세우며 코르도바 칼리파국을 선언한 아브드 알 라흐만 3세는 931년 지브롤터를 넘어 탕헤르와 세우타를 정복하였다.[11]
11세기 초 코르도바 칼리파국이 알안달루스 내전에 빠지면서 정치적 혼란이 닥치자 바누 하무디드가 스스로 칼리파를 선언하며 말라가를 중심으로 타이파를 세웠고 세우타 역시 여기에 편입되었으나 그리 오래 가지는 못하였다.[12] 코르도바 칼리파국 붕괴이후 북아프리카 서부 연안과 이베리아 반도의 이슬람 국가들은 혼란한 상황에서 서로 반목하였고 이는 레콩키스타 과정에서 이슬람 세력이 축출되는 원인으로 작용했다. 1056년 말라가와의 연결이 끊어진 상태에서 알제를 중심으로 성장하던 지리 아미르국이 세우타를 점령하였지만[13] 이 역시 오래 가지 못하였고, 1084년 모로코의 무라비트 왕조가 1147년에는 알모하드 칼리파국이, 1232년에는 하프스 왕조가, 1249년 이후로는 마린 술탄국과 그라나다 아미르국이 세우타를 지배하였다. 1387년 페스가 아라곤 왕국의 지원을 받으며 세우타를 점령하였다.
포르투갈
[편집]
1415년 8월 21일 아침, 포르투갈의 주앙 1세이 아들과 함께 군대를 이끌고 세우타를 기습하였다.포르투갈의 세우타 정복은 200여척의 함선에 4만5천여 명의 병력이 동원되었고 해가 떨어지기 전에 세우타를 함락시킬 수 있었다. 전투에 참여한 주앙 1세의 아들 엔히크는 이후 계속되는 정복과 항해로 "항해왕자"로 널리 이름을 알렸다. 예상보다 손쉽게 정복을 마친 주앙 1세는 세우타를 향후 포르투갈 확장의 거점으로 선포하였다.[14]
1419년 마린 술탄국이 세우타를 포위하였으나 실패하였고 두아르트 시기에 이르러 세우타는 포르투갈의 전략적 요충지로서 탕헤르를 대신하여 사하라 종단 무역의 출발점이 되었다. 포르투갈은 세우타를 거점으로 서쪽으로는 탕헤르 점령하고 동쪽으로는 마그레브 연안을 공격하며 세를 키웠다.[15] 한편 포르투갈은 1494년 토르데시야스 조약에서 스페인으로부터 세우타에 대한 영토권을 인정받았다. 1540년 포르투갈은 보루와 함께 세우타 왕립 성벽을 건설하였다. 당시 건축된 보루 가운데 일부는 오늘날까지 보존되어 있다.[16]
포르투갈의 시인 루이스 드 카몽이스는 1549년에서 1551년 사이 포르투갈에 살면서 참전한 전투로 오른쪽 눈을 잃었고 자신의 서사시 《우스 루지아다시》 (포르투갈어: Os Lusíadas, 루이스의 유산)에서 이를 묘사하였다.
스페인의 포르투갈 병합
[편집]1578년 포르투갈의 국왕 세바스티앙이 알카세르키비르 전투에서 24세의 나이로 전사하였다. 젊은 나이의 왕은 결혼도 하지 않은 상태여서 후사가 없었고 포르투갈은 왕위 계승 위기를 맞았다. 스페인의 펠리페 2세는 자신의 어머니 이사벨라가 세바스티앙의 아버지인 마누엘 1세라는 이유를 들어 왕위를 주장하였다. 서자 출신의 방계인 안토니오가 이에 저항하였으나 명분과 병력 모두 차이가 컸고 결국 펠리페 2세가 포르투갈의 왕위를 이으면서 스페인과 포르투갈은 동군연합이 되었다. 포르투갈은 형식적으로 독립국이었으나 외교권이 박탈되었기 때문에 사실상 스페인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17]
이 시기 세우타를 포함한 포르투갈의 많은 해외 영토들이 스페인에 양도되었다. 1640년 포르투갈 왕정복고 전쟁으로 포르투갈은 다시 독립국이 되었지만, 세우타는 스페인의 영토로 남게 된다.
스페인
[편집]
1668년 포르투갈의 아폰수 6세는 스페인의 카를로스 2세와 맺은 리스본 조약을 통해 세우타가 스페인의 영토임을 인정하였다.[18]
모로코의 군주 이스마일 이븐 샤리프가 1694년 세우타를 공격하기 시작하여 시작된 세우타 공방전 (1694년 - 1727년)세우타 공방전은 1727년까지 계속되었지만 스페인은 방어에 성공하였다. 이 과정에서 많은 건물이 파괴되었다.
19세기 나폴레옹 전쟁 동안 스페인은 영국이 세우타에 주둔하는 것을 허용하였다. 이로서 영국은 해협 건너의 지브롤터와 함께 지중해를 완전히 봉쇄할 수 있었다. 1810년 시작된 영국군의 주둔은 전쟁이 끝날 때까지 계속되었다.[19]
1859년 모로코와 국경 분쟁으로 테토우안 전투가 있었고, 스페인은 1912년 모로코를 점령하여 식민지로 삼아 스페인령 모로코가 되었다.
1936년 7월 프란시스코 프랑코가 반란을 일으켜 스페인 내전이 시작되었다. 세우타는 정부군과 반란군이 맞붙는 첫 전장이 되었다.[20] 1940년 프랑코는 세우타에 자신의 승전을 기념하는 기념비를 세웠다.[21]
1947년 신생 독립국인 인도는 종교 갈등으로 인도 분할을 겪었고 이 과정에서 많은 신두인이 세우타로 피난하였다. 세우타에는 1893년 부터 정착하여 있던 소규모 인도인 공동체가 있었다.[22]
1956년 스페인령 모로코가 독립하여 오늘날의 모로코가 되면서 국경을 재편하는 플라사스 데 소베라니아를 정하였고 세우타는 여전히 스페인 영토로 남게 되었다.
안달루시아주에 속해 있던 세우타는 1995년 자치시로 승격하였다. 가톨릭이 압도적인 스페인 본토와 달리 북아프리카 연안의 세우타와 멜리야에는 다수의 무슬림 역시 살고 있다. 세우타와 멜리야는 2010년 라마단이 끝난 날을 기념하는 이슬람 축일인 이드 알피트르를 공휴일로 지정하였다.[23]
지리
[편집]세우타는 지브롤터 해협을 두고 스페인 본토의 남단인 카디스도에서 약 17 Km 떨어져 있다.[24] 모로코 최북단의 탕헤르테투안알호세이마 지방과 맞닿아 있고 국경은 약 6.4 Km이다. 세우타의 면적은 18.5 km2 이고 동쪽으로 돌출한 알미나반도에 몬테 하초 산이 있고 반도 끝에 항구가 있다.
조류 보호지
[편집]세우타 연안은 버드라이프 인터내셔널이 지정한 중요조류지역이다. 각종 맹금류와 황새류가 아프리카와 유럽을 오가며 세우타를 중간 거류지로 삼고 있다.[25]
기후
[편집]세우타는 해양 기후의 영향을 많이 받는 지중해성 기후이다.[26] 평균 일교차는 극히 작고 평균 연교차도 18.8 °C로 작은 편이다.[27] 여름은 거의 비가 오지 않고 겨울에는 보나 습윤하나 여전히 건조한 편이다.[27]
| Ceuta city (1m altitude)의 기후 | |||||||||||||
|---|---|---|---|---|---|---|---|---|---|---|---|---|---|
|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 역대 최고 기온 °C (°F) | 21.7 (71.1) |
25.5 (77.9) |
27.9 (82.2) |
28.4 (83.1) |
33.7 (92.7) |
35.3 (95.5) |
40.2 (104.4) |
38.9 (102.0) |
34.8 (94.6) |
33.1 (91.6) |
27.2 (81.0) |
25.6 (78.1) |
40.2 (104.4) |
| 일평균 최고 기온 °C (°F) | 16.1 (61.0) |
16.7 (62.1) |
17.8 (64.0) |
19.4 (66.9) |
22.5 (72.5) |
25.8 (78.4) |
28.9 (84.0) |
28.5 (83.3) |
26.1 (79.0) |
22.9 (73.2) |
18.9 (66.0) |
16.7 (62.1) |
21.7 (71.1) |
| 일일 평균 기온 °C (°F) | 13.6 (56.5) |
14.2 (57.6) |
15.0 (59.0) |
16.5 (61.7) |
19.2 (66.6) |
22.3 (72.1) |
25.0 (77.0) |
25.1 (77.2) |
23.0 (73.4) |
20.2 (68.4) |
16.5 (61.7) |
14.4 (57.9) |
18.8 (65.8) |
| 일평균 최저 기온 °C (°F) | 11.1 (52.0) |
11.6 (52.9) |
12.2 (54.0) |
13.6 (56.5) |
15.9 (60.6) |
18.8 (65.8) |
21.1 (70.0) |
21.7 (71.1) |
19.9 (67.8) |
17.5 (63.5) |
14.0 (57.2) |
12.2 (54.0) |
15.8 (60.4) |
| 역대 최저 기온 °C (°F) | 1.3 (34.3) |
4.4 (39.9) |
7.2 (45.0) |
9.0 (48.2) |
10.5 (50.9) |
7.2 (45.0) |
16.3 (61.3) |
18.0 (64.4) |
15.3 (59.5) |
12.2 (54.0) |
7.4 (45.3) |
6.3 (43.3) |
1.3 (34.3) |
| 평균 강수량 mm (인치) | 122 (4.8) |
145 (5.7) |
90 (3.5) |
57 (2.2) |
21 (0.8) |
3 (0.1) |
1 (0.0) |
3 (0.1) |
37 (1.5) |
82 (3.2) |
127 (5.0) |
161 (6.3) |
849 (33.2) |
| 평균 강수일수 | 7 | 8 | 6 | 5 | 3 | 1 | 0 | 1 | 2 | 5 | 7 | 9 | 54 |
| 평균 상대 습도 (%) | 72 | 75 | 68 | 71 | 66 | 67 | 61 | 70 | 72 | 75 | 73 | 73 | 70 |
| 출처: Weather.com,[28] WorldWeatherOnline,[29][27] and Agencia Estatal de Meteorología[30] | |||||||||||||
자치 정부
[편집]
1995년 세우타는 멜리야와 함께 자치시가 되었다.[31]
스페인 정부는 유럽 연합에 가입하기 이전인 1986년 부터 세우타를 경제자유구역로 지정하여 왔고, 지금은 유럽 연합의 경제 통화 동맹애 따라 낮은 세율이 적용된다.
1979년부터 시작된 25석 규모의 세우타 시의회는 4년 마다 선거가 치러진다. 2023년 스페인 지방 선거에서 국민당이 9석, 스페인 사회주의노동자당이 7석, Vox 5석, Ceuta Ya! 2석, 존엄과 시민권을 위한 행동 2석으로 구성되었다.[32] 국민당 소속의 후안 헤수스 비바스가 2001년 당선된 이후 지금까지 시장을 역임하고 있다.[33]
세우타의 인구는 8만명이 조금 넘는 적은 규모여서 스페인 하원에는 1석 만이 배당되어 있다. 2023년 스페인 총선거에서 국민당 소속의 의원이 당선되었다.[34]
경제
[편집]
스페인의 유럽 연합 가입 이후 세우타의 공식 통화는 유로이다. 스페인 정부는 세우타에 대해 특별히 낮은 세율 정책을 취하고 있다.[35]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Censo anual de población 2021-2024, Instituto Nacional de Estadistica
- ↑ Wells, John C. (2008). 《Longman Pronunciation Dictionary》 3판. Longman. ISBN 978-1-4058-8118-0.
- ↑ Jones, Daniel (2011). Roach, Peter; Setter, Jane; Esling, John (편집). 《Cambridge English Pronouncing Dictionary》 18순위판.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0-521-15255-6.
- ↑ efatura del Estado (14 March 1995), Ley Orgánica 1/1995, de 13 de marzo, de Estatuto de Autonomía de Ceuta, pp. 8055–8061, retrieved 19 August 2023
- ↑ Ferrer-Gallardo, Xavier (2008). "The Spanish–Moroccan border complex: Processes of geopolitical, functional and symbolic rebordering". Political Geography. 27 (3): 301–321. doi:10.1016/j.polgeo.2007.12.004
- ↑ Gervilla Zapata, María; Vashdev Lalwani, Sony (2011). 〈La comunidad hindú ceutí y u integración en la cultura occidental〉. 《Actas del I Congreso Internacional sobre Migraciones en Andalucía》 (PDF). Granada: Instituto de Migraciones. 1865쪽. ISBN 978-84-921390-3-3.
- ↑ Francisco Manzano-Agugliaro, Phoenician colonization from its origin to the 7th century BC, Journal of Maps, 2025
- ↑ Mommsen, Theodore, 《The Provinces of the Roman Empire》, s.v. "Africa".
- ↑ Gibb, Hamilton Alexander Rosskeen; Johannes Hendrik Kramers; Bernard Lewis; Charles Pellat; Joseph Schacht (1994), 《The Encyclopaedia of Islam》, E.J. Brill, 690쪽.
- ↑ Ferhat, Halima (1995). 〈Sabta〉. Bosworth, C. E.; van Donzel, E.; Heinrichs, W. P.; Lecomte, G. (편집). 《The Encyclopaedia of Islam, New Edition, Volume VIII: Ned–Sam》. Leiden: E. J. Brill. 690쪽. ISBN 90-04-09834-8.
- ↑ Bordejé Morencos, F. Fernando de (1992). “El islam, la España musulmana y la mar” (PDF). 《Revista de Historia Naval》 (39): 111–112.
- ↑ Calero Secall, María Isabel (1994). “Dos ciudades ḥammūdíes: Málaga y Ceuta”. 《Miscelánea de Estudios Árabes y Hebraicos. Sección Árabe-Islam》 (Universidad de Granada): 48.
- ↑ Calero Secall 1994, 47쪽.
- ↑ López de Coca Castañer, José Enrique (1998). “Granada y la expansión portuguesa en el Magreb extremo”. 《Historia. Instituciones. Documentos》 (Seville: Universidad de Sevilla) (25): 351. doi:10.12795/hid.1998.i25.018. ISSN 0210-7716. S2CID 252936676.
- ↑ “Payne, Stanley G., A History of Spain and Portugal, Vol.1, Chap.10 "The Expansion"” (PDF).
- ↑ “Ceuta”. 《fortified-places.com》. 2017년 10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9월 17일에 확인함.
- ↑ 포르투갈사⑦…스페인에 빼앗긴 왕실, 쇠퇴기, 아틀라스 뉴스, 2020년 11월 14
- ↑ Britannica, The Editors of Encyclopaedia. “Ceuta”. Encyclopedia Britannica. 2022년 12월 24일에 확인함.
- ↑
Chisholm, Hugh 편집 (1911). 〈Ceuta〉 11판.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05. 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 777; see last eight lines쪽.
- ↑ “History of Ceuta”. 2012년 3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3월 1일에 확인함.
- ↑ “Franco monument now part of a rubbish dump in Ceuta”. 2012년 12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 Briones, Rafael; Tarrés, Sol; Salguero, Óscar (2013). 《Encuentros. Diversidad religiosa en Ceuta y Melilla》 (PDF). Editorial Pluralismo y Convivencia. 84쪽. ISBN 978-84-9888-523-1.
- ↑ [https://marocmama.com/things-to-do-in-ceuta-spain/ Visitor’s Guide to Ceuta, Spain}, Maroc Mama
- ↑ “Turismo. Ceuta, cuatro mundos por descubrir”. 《abcViajes》. 2020년 2월 1일에 확인함.
- ↑ “Ceuta”. 《BirdLife Data Zone》. BirdLife International. 2021. 2021년 2월 13일에 확인함.
- ↑ “Ceuta, Spain – Climate Summary”. 《weatherbase》. 2014년 12월 8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Valores climatológicos normales. Ceuta” [Normal climate values. Ceuta] (스페인어). 《AEMET》. Agencia Estatal de Meteorología. 2015년 8월 11일에 확인함.
- ↑ “Monthly Averages for Ceuta, Spain”. Weather.com. 2012년 10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8월 16일에 확인함.
- ↑ “Ceuta Monthly Climate Averages”. World Weather Online. 2016년 8월 16일에 확인함.
- ↑ “Valores extremos. Ceuta – Selector” [Extreme values. Ceuta – Selector] (스페인어). 《AEMET》. Agencia Estatal de Meteorología. 2016년 8월 16일에 확인함.
- ↑ “Ley Orgánica 1/1995, de 13 de marzo, Estatuto de Autonomía de Ceuta” (스페인어). Noticias.juridicas.com. 2009년 6월 17일에 확인함.
- ↑ El sondeo de Ceuta y Melilla al margen de las sospechas de la compra de voto, el Plural
- ↑ “Juan Jesús Vivas no se presentará a otras elecciones tras 20 años de mandato”. 《EFE》. 2021년 4월 17일.
- ↑ Local elections in Ceuta and Melilla, Groupe D'etudes geopolitiqyes
- ↑ “Economic Data of Ceuta, de ceutna digital”. Ceuta.es. 2010년 4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6월 17일에 확인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