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레티파키에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레티파키에스
화석 범위:
캄브리아기 제3절(5억 1800만 년 전[1])
등갑화석
등갑화석
생물 분류ℹ️
역: 진핵생물역
계: 동물계
문: 절지동물문
(미분류): 우지동물
아문: 삼엽충아문
속: 레티파키에스속
Hou et al. 1989
종: 레티파키에스
학명
Retifacies abnormalis
Hou et al. 1989

레티파키에스(학명Retifacies abnormalis 레티파키에스 아브노르말리스[*])는 캄브리아기 중후반에 출현했던 멸종한 절지동물의 하나이다. 중국 윈난성의 마오텐산 셰일에서 발견되었다. 우지동물의 구성종으로, 피그마클리페아투스의 근연종이다.

특징

[편집]
다양한 시점에서의 모습. E=단분지성 머리다리 F=이분지
괄호 표시: 겉다리 (exo) 외돌기 (exi) 원절 (pt) podomere (pd) 가시 및 강모 (s) 끝발톱 (tc)
등갑의 장식의 종류에 따른 두 가지 복원도

레티파키에스는 몸길이가 35cm 비교적 덩치가 커 더듬이와 꼬리가시까지 합하면 그 길이는 55cm에 달한다. 머리방패는 넓고 짧으며 눈이 보이지 않는다. 더듬이는 17마디로, 접이식 망원경처럼 끝으로 갈수록 마디의 길이가 짧아지며, 가시들이 더듬이 아랫면에서 마디 사이의 경계부에 존재한다. 또한 가까이 붙어있는 네 쌍의 다리가 머리에 위치하며 이 중 세 쌍의 다리는 단분지성이고, 나머지 맨 뒤의 다리는 이분지성이다. 단분지성 머리다리는 여섯 개의 가락마디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끝에는 끝발톱이 달린다. 네 번째 다리는 안다리를 가진 이분지로 다른 다리들과 형태가 비슷하다. 몸통은 10마디로 나누너지며 마디들의 각 길이와 너비가 비슷하며 마디마다 이분지가 한 쌍씩 달린다. 몸통의 이분지 중 안 다리는 5개 또는 6개의 가락마디에 끝발톱이 달리며, 겉다리는 테두리에 강모가 달린 12개의 노 모양 판들로 이루어진 반원통형의 엽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분지에는 외돌기도 있으며, 다리의 도래마디에 달리는 판으로 이루어져 있다. 몸의 맨 끝에 있는 배끝마디 몸 비율상 큰 편이며 5~6쌍의 이분지가 달린다. 마디 진 꼬리가시가 배끝마디의 아랫면에서 이어져 있다.[2] 등갑은 다각상의 사각형(그물 모양) 장식으로 덮여 있는데, 표본마다 다르며 두 가지의 형태가 있다. 가장 큰 표본들 가운데에서만 발견되는 한 형태형 때문에 그 차이는 개체 발생이 요인일 수 있다.[3]

생활방식

[편집]
복원도

내장의 형태 또는 내용물의 정보 부족으로 인해 레티파키에스의 복원은 추측에 근거해 있다. 2022년 재기재 논문의 저자들은 레티파키에스를 연체성의 생물 또는 유기체의 시체나 잔여물을 먹고 사는 저서성 생물로 여겼다.[2]

계통 분류

[편집]

삼엽충의 외형과 모호하게 닮은 점이 있어 학자들은 레티파키에스가 삼엽충과 관련된 다른 원시 절지동물인 헬메티아 또는 나라오이아의 친척일 것으로 생각하게 되었다 (Delle Cave and Simonetta 1991, Hou and Bergstrom 1997). 그 후, 캐나다 버지스 셰일에메랄델라시드니이아과 같은 우지동물에 속하는 다른 초기 절지동물과 레티파키에스가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에 대한 또 다른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이는 후속 연구에서 확인된 바 있다. Hou & Bergstrom은 스콰마쿨라속과의 근연성을 제시했다. 그러나 레티파키에스와 같은 퇴적층에서 발견된 피그마클리페아투스에 대한 재기재 논문 이후, 후자는 다른 형태적 유사점들 중에 여러 개로 마디 진 꼬리가시를 둘 다 공유한다는 사실을 미루어 레티파키에스와 가장 가까운 것으로 여겨지게 되어, 스콰마쿨라 근연설은 거부당했다. 레티파키에스+피그마클리페아투스가 속한 분기군은 삼엽충아문 또는 우지동물에서 보다 좀 더 원시적인 위치에 분류된다.[4][2]

Berks et al. 2023에 따른 함축 가중치 인색 계통도이다.[5]

우지동물

툴라스피스

스콰마쿨라

원봉합류

지웨니아

아우스트랄리미콜라

아칸토메리디온

변미류

시드니이아

켈로니엘론목

에메랄델라

코디미루스

에오제테테스

아글라스피스목

삼엽충아문

레티파키에스

피그마클리페아투스

크산다렐라목

영순충목

합배아강

콰니나스피스

피토필라스피스

삼엽충강

각주

[편집]
  1. Yang, C.; Li, X.-H.; Zhu, M.; Condon, D. J.; Chen, J. (2018). “Geochronological constraint on the Cambrian Chengjiang biota, South China” (PDF) (영어).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175 (4): 659–666. Bibcode:2018JGSoc.175..659Y. doi:10.1144/jgs2017-103. ISSN 0016-7649. S2CID 135091168. 
  2. Zhang, Maoyin; Liu, Yu; Hou, Xianguang; Ortega-Hernández, Javier; Mai, Huijuan; Schmidt, Michel; Melzer, Roland R.; Guo, Jin (2022년 8월 19일). “Ventral Morphology of the Non-Trilobite Artiopod Retifacies abnormalis Hou, Chen & Lu, 1989, from the Early Cambrian Chengjiang Biota, China” (영어). 《Biology》 11 (8): 1235. doi:10.3390/biology11081235. ISSN 2079-7737. PMC 9405172. PMID 36009864. 
  3. Lin, Weiliang; Pates, Stephen; Losso, Sarah R.; Fu, Dongjing (2024년 2월 19일). “Intraspecific variation of early Cambrian (stage 3) arthropod Retifacies abnormalis revealed by morphometric analyses”. 《Frontiers in Ecology and Evolution》 12. doi:10.3389/fevo.2024.1336365. ISSN 2296-701X. 
  4. Schmidt, Michel; Hou, Xianguang; Zhai, Dayou; Mai, Huijuan; Belojević, Jelena; Chen, Xiaohan; Melzer, Roland R.; Ortega-Hernández, Javier; Liu, Yu (2022년 3월 28일). “Before trilobite legs: Pygmaclypeatus daziensis reconsidered and the ancestral appendicular organization of Cambrian artiopods”. 《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B: Biological Sciences》 377 (1847): 20210030. doi:10.1098/rstb.2021.0030. PMC 8819370. PMID 35125003. 
  5. Berks, H. O.; Nielsen, M. L.; Flannery-Sutherland, J.; Nielsen, A. T.; Park, T.-Y. S.; Vinther, J. (2023). “A possibly deep branching artiopodan arthropod from the lower Cambrian Sirius Passet Lagerstätte (North Greenland)”. 《Papers in Palaeontology》 9 (3). e1495. doi:10.1002/spp2.1495. S2CID 259253098. 

자료

[편집]
  • Hou, Chen & Lu, 1989. Early Cambrian new arthropods from Chengjiang, Yunnan. Acta Palaeontologica Sinica, 28, 42–57.
  • Chen & Zhou, 1997. Biology of the Chengjiang fauna. Bulletin of the Natural Museum of Natural Science, 10, 11 – 106.
  • Hou & Bergstrom, 1997. Arthropods of the Lower Cambrian Chengjiang fauna, southwest China. Fossils and strata, 45, 116 pp.
  • Edgecombe & Ramskold, 1999b. Relationships of Cambrian Arachnata and the systematic position of Trilobita. Journal of Paleontology, 73, 263 – 287.
  • Hou, Bergstrom, Wang, Feng & Chen, 1999. The Chengjiang fauna. Exceptionally well-preserved animals from 530 million years ago. 170 pp. Yunnan Science and Technology Press, Kunming, Yunnan Province, Chi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