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단로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고전압(왼쪽) 및 중전압 단로기(오른쪽)

전기공학에서 단로기, 디스커넥터(disconnector)는 정비나 유지보수를 위해 전기 회로가 완전히 비활성화되었는지 확인하는 데 사용되는 가시적인 접점이 있는 개폐 장치의 일종이다. 이는 배전 및 산업용 애플리케이션에서 자주 발견되며, 기계 조정 또는 수리를 위해 구동 전원에서 전원을 차단해야 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단로기는 수동 또는 모터로 작동할 수 있으며, 장비와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시스템에서 격리된 부분을 접지하는 접지 개폐기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고전압 단로기는 변전소에서 회로 차단기, 변압기, 송전선과 같은 장비를 유지보수 목적으로 격리하는 데 사용된다. 단로기는 일반적으로 회로의 정상적인 제어를 위한 것이 아니라 안전 격리만을 위한 것이다. 부하 개폐기회로 차단기와 달리 단로기에는 높은 전류를 운반하는 도체가 기계적으로 차단될 때 발생하는 아크소멸시키는 메커니즘이 없다. 따라서 이들은 부하 차단 장치이며, 차단 용량이 매우 낮아 다른 제어 장치에 의해 전류가 차단된 후에만 열리도록 되어 있다. 전력회사의 안전 규정은 단로기가 회로에 전력을 공급하는 동안 단로기를 열려는 모든 시도를 방지해야 한다. 일부 국가의 안전 기준은 현지 모터 단로기 또는 자물쇠로 잠글 수 있는 손잡이를 요구할 수 있다.

IEC 표준 62271-102는 단로기의 기능과 특성을 정의한다.

단로기에는 우발적인 작동을 방지하기 위한 록아웃-태그아웃 장치가 있다. 고전압 또는 복잡한 시스템에서 이러한 잠금 장치는 올바른 작동 순서를 보장하기 위한 트랩트 키 연동 시스템의 일부일 수 있다. 일부 설계에서는 단로기가 격리된 회로를 접지할 수 있는 추가 기능을 가지고 있어 추가적인 안전을 제공한다. 이러한 배열은 회로의 양쪽 끝이 격리되어야 하는 배전 시스템을 상호 연결하는 회로에 적용된다.

종류

[편집]
220kV 팬터그래프 단로기. 노란색 도색으로 상태를 알 수 있다.

단로기는 구조적 특징과 장착 배열에 따라 여러 종류로 분류될 수 있다. 주요 단로기 종류는 다음과 같다.

  • 중앙 개방형 단로기
  • 이중 개방형 단로기
  • 팬터그래프형 단로기
  • 수평 개방형 니 단로기
  • 수직 개방형 단로기
  • 동축 단로기

이들은 변전소 배치, 사용 가능한 여유 공간 및 공간 제약 조건에 따라 선택된다.

스위치 단로기

[편집]

스위치 단로기는 단로기와 부하 개폐기의 특성을 결합하여[1] 안전 격리 기능을 제공하면서도 공칭 전류를 통전 및 차단할 수 있다.

통합 단로기

[편집]

단로 회로 차단기에서는 단로기가 차단 챔버에 통합되어 별도의 단로기가 필요 없다. 이 결합 장치의 목적은 유지보수를 줄이고 가용성신뢰성을 높이는 것이다. 개방된 간격이 명확하게 보이지 않고 유지보수 활동 중에 안전 측면에서 많은 의문이 제기되기 때문에 이 장치를 단로기 대신 사용하는 것은 제한적이다. 채택된 경우 접지 개폐기를 사용해야 하며 성능은 일반적인 값으로 향상되어야 한다.

개방형 단로기는 일반적으로 5년마다 유지보수가 필요하며(매우 오염된 조건에서는 2년마다), 회로 차단기는 15년마다 유지보수가 필요하다.[2]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Edvard Csanyi (2014년 6월 20일). “Differences between disconnectors, load switches, switch disconnectors and circuit breakers”. 《Electrical Engineering Portal》. 2016년 1월 21일에 확인함. 
  2. “Applications of Disconnecting Circuit Breakers, Michael Faxå, p. 1-2” (PDF). 2013년 5월 16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7월 11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