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래떡
구운 가래떡 | |
| 원산지 | 한국 |
|---|---|
| 관련 요리 | 한국 요리 |
| 주요 재료 | 쌀가루 |
|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재료 | 소금, 참기름 |
| 변형 | 떡면(떡볶이떡) |
| [단위 변환: %s]%s | |
가래떡은 물에 불린 멥쌀을 빻은 가루에 다시 일정량의 물을 부어 반죽한 다음 쪄내 길쭉하게 뽑아낸 떡이다.[1] 흰떡으로도 부른다.[2] 설날에 먹는 명절 음식이며, 정월 시식의 하나이다.[3] 떡국을 끓이는 데 쓰려고 어슷썬 것은 떡국떡으로도 부른다.
역사
[편집]1819년 《열양세시기》에는 "권모(拳摸, 비빈떡, 흰떡)"라는 이름으로 언급된다.[2]
1849년 《동국세시기》에 "흰떡(白餠)"이라는 이름으로 언급되며, 떡국에 끓였으므로 "습면 (濕麵)"이라고도 불렀다고 나온다.[2]
만들기
[편집]멥쌀가루를 체에 쳐서 물로 고수레를 한 다음, 시루에 찐 다음 안반(떡판)에 올려 놓고 꽈리가 일도록 오랫동안 메로 치고, 손으로 둥글고 길게 늘여 만든다.[2] 현대에는 주로 기계를 이용하여 가래떡을 만든다.[2] 과거에는 "흰떡"으로도 불릴 정도로 주로 흰색으로 만들었으나, 현대에는 녹색, 붉은색, 노란색 등 색을 넣어 만들기도 한다.[2]
떡볶이용으로 얇게 뽑은 가래떡은 떡면 또는 떡볶이떡이라 불리며, 쌀가루 외에도 밀가루 등으로 생산된다.[2]
요리
[편집]요즘에는 떡볶이, 떡국 말고도 닭강정이나 닭튀김, 갈비 등에도 가래떡이 어울려 나오기도 하며, 치즈, 그라탱 등의 서양음식과 함께 요리하는 등 그 쓰임이 확대되고 있다.
문화
[편집]기다란 모양의 가래떡은 장수를 기원하는 음식이다. 부모의 장수를 빌 때 긴 가래떡 위에 오색실을 감아 큰 상 위에 올리기도 하며, 설날에 가래떡으로 떡국을 끓여 먹는 것도 장수를 기원하는 풍습이다.[2]
기타
[편집]가래떡 모양이랑 비슷하다는 이유로 11월 11일이 가래떡데이로 여겨지고 있다. [4]
같이 보기
[편집]- 떡면(떡볶이떡)
각주
[편집]- ↑ 가래떡 조리법(출처:한국요리.com)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윤덕인 (2018). 〈가래떡〉. 백민영; 은현정; 김혜영; 류건욱 (편집). 《한국 의식주 생활 사전: 식생활》 1. 서울: 국립민속박물관. 28-29쪽. ISBN 978-89-289-0209-5.
- ↑ “‘가래떡 뽑아요’”. 《인터넷 함양신문》. 2018년 2월 8일. 2025년 9월 8일에 확인함.
- ↑ “11월 11일 무슨 날? 가래떡데이 입니다!”.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2016년 11월 1일. 2025년 9월 8일에 확인함.
| 이 글은 한국 요리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