ㅌ
보이기
| ㅌ | |
|---|---|
| 정보 | |
| 자명 | 티읕 |
| 훈몽자회 | 治 |
| 자원 | ㄷ(디귿)에 획을 추가 혀끝소리 |
| 종류 | 닿소리 |
| 획수 | 3 |
| 로마자 표기 | |
| 매큔-라이샤워 표기법 | t |
|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 t |
| 발음 | |
| 어두 | 무성 치경 파열음[ tʰ ] |
| 어중 | 무성 치경 파열음[ tʰ ] |
| 어말 | 치경 불파음[ t ̚ ] |
| 이음 | 후행 자음이 평음일 경우: 경음 홀소리 ㅣ 앞에서: 무성 치경구개 파열음(t̠ʲʰ/c̟ʰ) |
| 획순 | |

현대 한국어 첫소리에서는 혀끝소리(발음 기관)이고, 거센터짐소리(발음법)이며, 안울림소리이다. 끝소리에서는 ㄷ과 같다. 국제 음성 기호로는 i 앞을 제외한 모든 홀소리 앞에서 무성 유기음[ tʰ ], 홀소리 i 앞에서는 무성 치경구개 파열음(t̠ʲʰ/c̟ʰ) 종성에서 치경 불파음[ t ̚ ]이 된다. 종성 ㅌ의 소리는 종성 ㄷ과 같다.
훈민정음 초성 체계에서는 혓소리이다. 제자 원리는 ㄴ에 획을 더해 ㄷ, 거기에 획을 다시 더해 ㅌ을 만들었다고 한다.
같이 보기
[편집]코드값
[편집]| 종류 | 글자 | 유니코드 | HTML | |
|---|---|---|---|---|
| 한글 호환 자모 | ㅌ | U+314C | ㅌ
| |
| 한글 자모 영역 |
첫소리 | ᄐᅠ | U+1110 | ᄐ
|
| 끝소리 | ᅟᅠᇀ | U+11C0 | ᇀ
| |
| 한양 사용자 정의 영역 |
첫소리 | | U+F7F6 | 
|
| 끝소리 | | U+F8EC | 
| |
| 반각 | ᄐ | U+FFBC | 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