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균 동맥압
보이기
(평균동맥압에서 넘어옴)
| 평균 동맥압 | |
|---|---|
한 번의 심장 주기에 따른 동맥압 파형을 표현한다. 곡선의 V자형 홈은 대동맥 판막의 폐쇄와 관련이 있다. | |
| MeSH | D062186 |
의학에서 평균 동맥압[1](mean arterial pressure, MAP)은 단일 심장 주기 동안 개인의 평균 계산 혈압이다.[2] MAP를 추정하는 방법은 다양하지만 일반적인 계산은 맥압(수축기압과 확장기압의 차이)의 1/3을 취하고 그 양을 확장기압에 더하는 것이다.[3][4] 정상적인 MAP는 약 90 mmHg이다.[5]
평균동맥압 = 확장기압 + (수축기압 - 확장기압)/3
MAP은 심장산출량과 전신 혈관 저항에 의해 변화된다.[6]
검사
[편집]MAP 추정
[편집]
MAP은 침습적 모니터링으로만 직접 측정할 수 있지만, 낮은(이완기) 혈압을 두 배로 늘려 높은(수축기) 혈압에 더한 다음 합성 합계를 3으로 나누어 MAP을 추정하는 공식을 사용하여 추정할 수 있다.[3]
따라서 평균 동맥압을 추정하는 일반적인 방법은 이완기 혈압에 더한 맥박압의 1/3을 취하는 것이다.[3][4][7]
여기서:
- DP = 이완기 혈압
- SP = 수축기 혈압
- MAP = 평균 동맥압
수축기 혈압에서 이완기 혈압을 뺀 것이 맥박압이 되며, 이를 대입할 수 있다.[6]
MAP을 찾는 또 다른 방법은 등가된 전신 혈관 저항()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는 수학적으로 다음 공식으로 표현된다.
여기서 는 전신 순환의 시작부터 끝까지의 압력 변화이고 는 혈관을 통한 흐름(심장 출력과 동일)이다.
즉:
따라서 MAP은 방정식을 다음과 같이 재배열하여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이는 정상 휴식 심박수에서만 유효하며, 이때 는 측정된 수축기() 및 이완기() 혈압을 사용하여 근사할 수 있다.[9][10]
심박수 상승
[편집]가장 정확함
[편집]젊은 환자
[편집]신생아
[편집]다른 공식 버전
[편집]임상적 중요성
[편집]저혈압
[편집]고혈압
[편집]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대한의협 의학용어 사전 https://www.kmle.co.kr/search.php?Search=mean+arterial+pressure&EbookTerminology=YES&DictAll=YES&DictAbbreviationAll=YES&DictDefAll=YES&DictNownuri=YES&DictWordNet=YES
- ↑ Zheng L, Sun Z, Li J, Zhang R, Zhang X, Liu S 외 (July 2008). “Pulse pressure and mean arterial pressure in relation to ischemic stroke among patients with uncontrolled hypertension in rural areas of China”. 《Stroke》 39 (7): 1932–1937. doi:10.1161/STROKEAHA.107.510677. PMID 18451345.
- ↑ 가 나 다 “Calculating the mean arterial pressure (MAP)”. 《Nursing Center》. 2011년 12월 8일.
- ↑ 가 나 Melgarejo JD, Yang WY, Thijs L 외 (January 2021). “Association of Fatal and Nonfatal Cardiovascular Outcomes With 24-Hour Mean Arterial Pressure”. 《Hypertension》 77 (1): 39–48. doi:10.1161/HYPERTENSIONAHA.120.14929. PMC 7720872. PMID 33296250.
- ↑ “Understanding Blood Pressure Readings”. American Heart Association. 2023. 2023년 6월 3일에 확인함.
- ↑ 가 나 DeMers D, Wachs D (2022). 〈Physiology, Mean Arterial Pressure〉. 《StatPearls》. Treasure Island (FL): StatPearls Publishing. PMID 30855814. 2022년 5월 22일에 확인함.
- ↑ “Mean arterial pressure calculator”. PhysiologyWeb. 2023. 2023년 6월 3일에 확인함.
- ↑ Klabunde RE. “Mean Arterial Pressure”. 《Cardiovascular Physiology Concepts》. Marian University College of Osteopathic Medicine.
- ↑ Nosek TM. 〈Section 3/3ch7/s3ch7_4〉. 《Essentials of Human Physiology》. 2016년 3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 “Cardiovascular Physiology (page 3)”. 《World of Anesthesia》. Nuffield Dept.of Anaesthetics, University of Oxford. 2006년 9월 12일. 2006년 12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