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제태자
보이기
|
효제태자
孝悌太子 | |
|---|---|
| 고려의 태자 | |
| 재위 | ? |
| 대관식 | 없음 |
| 전임 | 태조(太祖) |
| 후임 | 효명태자(孝明太子) |
| 부왕 | 태조(太祖) |
| 이름 | |
| 휘 | ? |
| 별호 | ? |
| 묘호 | 없음 |
| 시호 | 없음 |
| 연호 | 없음 |
| 신상정보 | |
| 출생일 | 생년 미상(生年 未詳) |
| 출생지 | ? |
| 사망일 | 몰년 미상(沒年 未詳) |
| 사망지 | ? |
| 왕조 | 고려(高麗) |
| 가문 | 개성(開城) |
| 부친 | 태조(太祖) |
| 모친 | 성무부인(聖茂夫人) |
| 배우자 | ? |
| 자녀 | 없음 |
| 종교 | 불교(佛敎) |
| 묘소 | 없음 |
효제태자(孝悌太子, 생몰년 미상)는 고려(高麗)의 태자(太子)이자 태조(太祖)와 성무부인(聖茂夫人)의 장남이다. 성은 왕(王) 이름은 전해지지 않는다. 본관은 개성(開城)
생애
[편집]태조 왕건과 성무부인의 장남으로, 성은 왕, 본관은 개성이다. 효제태자의 어머니 성무부인은 평주 박씨 출신으로, 황해도 평주(현재의 황해북도 평산군)의 호족이자 개국공신 박지윤의 딸이다. 역시 개국공신인 박수문, 박수경은 효제태자의 외삼촌이 된다[1].
《고려사》에는 효제태자의 일생에 대해 사적에 그 이름을 잃었고, 또 일찍 죽어 후손도 없다고만 기록하고 있다[2]. 호는 효제태자(孝悌太子)이다.
가계
[편집]- 조부 : 세조(世祖, ?~897년)
- 조모 : 위숙왕후(威肅王后, 생몰년 미상)
- 아버지 : 고려 제1대 왕 태조(太祖, 877년~943년, 재위:918년~943년)
- 외조부 : 박지윤(朴遲胤, 생몰년 미상)
출처
[편집]-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성무부인〉항목
- ↑ 《고려사》권90〈열전〉권3 - 종실 - 태조 왕자 효제태자
- ↑ 《고려사》〈열전〉- 공주 (태조의 딸)